[대선+] 오늘의 대선뉴스 몰아보기 (2025.06.01.)
-황교안 ‘부정선거·반국가세력 척결’ 위해 “김문수 돕겠다”
-이준석 “김문수 표는 윤석열과 계엄에 투표하는 것”
-김문수 “이준석과 단일화 아직 안 끝났다…좋은 결과 있을 것”
-김문수 기독자유통일당 대표 때 '리박스쿨 4명' 총선 출마
-경찰, 리박스쿨 ‘댓글 공작’ 의혹 수사 착수
-‘댓글조작’ 리박스쿨, 윤석열 대통령실 작년 1월 방문했다
-미 국방장관 “한국, 국방비 2배 늘려야”

황교안 사퇴 “김문수 돕겠다”…‘부정선거·반국가세력 척결’ 계엄선포 이유와 동일
‘부정선거 척결’을 걸고 출마한 황교안 후보가 김문수 후보를 돕겠다며 사퇴했다. 그는 “마지막 남은 한 가지 과제가 부정 선거를 막는 일”이라며 “다행히도 김 후보는 부정선거를 고치겠다고 공약한 바 있다”며 김 후보 지지를 선언했다. 이어 “이재명의 당선을 막고, 반국가 세력과 싸울 수 있는 후보도 김 후보”라면서 내란수괴 윤석열이 계엄선포 당시 언급한 ‘반국가 세력 척결’을 다시 거론했다.
이준석 “김문수 표는 윤석열과 계엄에 투표하는 것”
이준석 후보는 “김문수 후보에게 투표하는 표는 바로 윤 전 대통령과 계엄에 투표하는 것”이라며 “‘김문수·윤석열·전광훈’을 뽑는 순간 여러분이 가진 유권자로서의 표는 사표가 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윤 전 대통령은 전광훈 집회에 보낸 호소문에서 “6월 3일 반드시 투표장에 가서 김 후보에게 힘을 몰아달라”고 했는데, 이를 겨냥한 것이다.
김문수 “이준석과 단일화 아직 안 끝났다…좋은 결과 있을 것”
김문수 후보가 이준석 후보와의 단일화에 대해 “아직까지 끝나지 않았고, 제가 볼 때는 여러 가지 좋은 결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라며 “마지막까지도 저는 기대를 놓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한 국민의힘 관계자는 “현재 단일화 관련 물밑 협상 중인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김문수 기독자유통일당 대표 때 '리박스쿨 4명' 총선 출마
김문수 후보는 전광훈 목사와 함께 2020년 기독자유통일당을 창당했다. ‘뉴스타파’에 따르면 김 후보가 당 대표를 맡았던 2020년 4월, '리박스쿨' 관계자들이 기독자유통일당 소속으로 21대 총선에 무더기 출마했다. 김문수 후보와 '리박스쿨'의 관계를 보여주는 중요한 단서다. 리박스쿨의 '2020년 활동보고' 영상에서 리박스쿨이 21대 총선에 기독자유통일당 후보 4명을 출마시켰다고 밝힌다. 실제 영상 속 사진에서 김 후보 오른쪽에 서 있는 두 명의 여성은 당시 기독자유통일당 소속으로 출마했던 양 모 씨와 이 모 씨인데, 두 사람 모두 리박스쿨 연구원이다.
경찰, 리박스쿨 ‘댓글 공작’ 의혹 수사 착수
대선을 둘러싼 댓글 여론조작 의혹이 제기된 ‘리박스쿨’에 대해 서울경찰청은 사이버수사과에 사건을 배당하고 수사에 착수했다. 리박스쿨이 이승만·박정희 전 대통령을 지지하는 보수단체로, ‘자손군(댓글로 나라를 구하는 자유손가락 군대)’이라는 조직을 통해 온라인 여론조작을 벌여왔다는 의혹을 제기됐다. 이들이 포털사이트 계정을 다수 확보해 이재명 민주당 대선 후보 등을 비방하는 댓글을 조직적으로 작성하고, 공감 수를 조작해 게시물을 상단에 노출시키는 방식으로 여론에 영향을 미쳤다.
‘댓글조작’ 리박스쿨, 윤석열 대통령실 작년 1월 방문했다
‘한겨레신문’에 따르면 21대 대선 댓글 조작 의혹을 받고 있는 ‘리박스쿨’이 지난해 1월 청소년 프로그램을 운영하면서 용산 대통령실을 견학했던 것으로 확인됐다. 용산 대통령실은 그동안 방문 프로그램을 운영한다고 하면서도 신청 절차를 공개하지 않아 폐쇄적이라는 비판을 받았다. 리박스쿨의 대통령실 견학이 확인되면서 리박스쿨과 ‘윤석열 대통령실’과의 밀접한 관계가 드러난 셈이다.
미 국방장관 “한국, 국방비 2배 늘려야”
피트 헤그세스 미국 국방부 장관이 “중국 위협이 임박했다”며 아시아 동맹국에 신속한 국방비 증액과 대중국 억지 동참을 요구했다. 국방비 증액 기준으로는 ‘국내총생산(GDP) 대비 5%’라는 명시적인 기준을 제시했는데, 한국이 국방비를 약 2배 늘려야 맞출 수 있는 기준이다. 군국주의 부활을 노리는 일본은 지난 2월 이시바 총리가 워싱턴을 방문한 자리에서 트럼프 미 대통령에게 2년 내에 국방비를 2배로 올리겠다고 약속했다. 미국의 제1 목표가 ‘중국 억제’라는 점을 분명히 함으로써 한국을 비롯한 미국의 아시아 동맹국은 안보뿐 아니라 통상에서도 심각한 위기에 직면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