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식 농성 이어, 부축받으며 258배
'일터에서 죽으면 안 된다'더니 방치하나
유통 공백 뿐 아니라 지역 붕괴도 초래

단식 10일, 농성 14일 차인 최철한 마트노조 홈플러스 지부 사무국장은 “다음 달이면 홈플러스의 운영자금은 바닥난다”며 “노동자들이 다 죽고 나서 해결할 것이냐” 정부에 일침을 가했다.
17일 홈플러스 기업회생 절차가 258일째 계속되고 있다. 이에 당사자들이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258배를 진행하며 홈플러스 인수 성사를 위해 정부 개입을 촉구했다. 단식 중인 조합원들은 부축까지 받아가며, 258배를 이어갔다.
이후 대통령실에 30만 서명을 전달하면서 관계자와 면담을 진행했으나 별다른 진전은 없는 것으로 전해졌다.


현재 안수용 마트노조 홈플러스 지부장을 비롯한 최철한 사무국장, 손상희 수석부지부장이 열흘째 단식을 이어가고 있다. 안수용 지부장은 앞서 삭발까지 감행했다.
이들이 이렇게 절박한 이유는 12월이면 홈플러스 운영자금이 바닥나 전기요금도, 직원 월급도, 납품 대금조차도 지급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이렇게 되면 홈플러스 직·간접 노동자 10만여 명이 거리에 내몰리게 된다.
홈플러스 사태 해결이 시급한 이유는 이것뿐만이 아니다. 김광창 서비스연맹 위원장은 “홈플러스가 망가지면 지역 경제가 무너지고 지방 소멸이 앞당겨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는 “우리들이 지키려는 홈플러스는 농업인들의 생존을 위한 유통망”이라며 “홈플러스는 매년 1조 9천억 원의 농수산물이 판매되고 있으며, 홈플러스가 사라지면 농업인의 경제도 무너진다”고 강조했다.
서울이나 수도권에서 홈플러스는 하나의 대형마트지만, 지방에서는 지역 소상공인·납품업체의 납품·판로 안정판 역할을 한다. 이에 더해 지역 물류의 허브기지 위치를 점하고 있으며, 수백·수천의 노동자에게 일자리를 제공하고 있다.
홈플러스가 무너지면 지역 생태계 한 축이 통째로 빠지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셈이다.

기자회견 이후 최철한 사무국장은 ‘산재 근절’을 강조한 이재명 정부에게 “노동자가 죽을 때까지 기다리고 있는 것이냐” 지적했다.
정부가 ‘산재 근절’이라는 원칙을 말하며 공약으로까지 내걸었지만, 실제로는 고용 위험징후가 명백한 현장에서 단식까지 감행한 이들에게 사전적 예방조치, 감독, 개입하지 않는 노동정책의 허점을 직격한 거다.
기자회견장에 함께한 을지로위원회 민병덕 민주당 의원은 “을지로위원회도 이 문제에 대해 큰 책임을 가지고 있다”고 말하며 “이는 MBK만의 문제가 아니라 대한민국 국민 30만의 문제이기 때문에 이제 정부가 나서서 해결하고, MBK는 처벌할 것들은 처벌해야 된다. (정부가) 이 방향을 잡았으면 좋겠다”고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