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정책 실패로 오른 물가, 노동자에게 전가 말라”
“양회동 열사에서 보듯 전태일 정신 여전히 살아있어”
“노동조합, 민주주의를 방어하는 가장 큰 조직”

세계 노동절을 맞아 민주노총이 윤석열 정권 퇴진 투쟁을 결의했다.
윤석열 정부의 노조탄압에 항의하며 지난해 노동절에 분신한 양회동 건설노동자의 유지를 받들겠다는 것이다.
1일 오후, 광화문 일대는 전국 각지에서 올라온 2만 5천여 명의 노동자들로 붐볐다.
민주노총은 “윤석열 정권은 지난 2년간 노동탄압ˑ노조파괴를 통해 반민주 정권의 속성을 가감 없이 드러냈다”며 “노조법 2ˑ3조 개정안을 거부하고 중대재해처벌법 확장 적용을 반대하더니 최근엔 최저임금을 차등적용하여 저임금 노동자에게 더 낮은 임금을 주고 이주노동자에게는 더 큰 차별을 하겠다고 나서고 있다”고 규탄했다.
특히 민주노총은 “총선이 끝난 이후 윤석열 정권은 사실상 모든 민중으로부터 퇴거요청을 받은 것과 다름없다”며 “민심의 요구대로 윤석열 정권의 빠른 퇴진을 이끌어내고 노동자 서민들의 삶을 회복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날 대회사에서 양경수 위원장은 “윤석열 정권에 의해 폭력배로 매도당한 양회동 열사는 자존심을 지키고자 자신의 몸에 불을 당겼고, 그 불길은 정권 퇴진 외침으로 타올랐다”며 “노동을 탄압하고 부자ˑ재벌 퍼주기 일색인 윤석열 정권을 우리 힘으로 몰아내자”고 말했다.
그러면서 “정권 교체 후 더 나아가 노동자라면 누구나 노동조합 할 수 있도록 손해배상과 가압류로 위협받는 일이 없게 노조법을 개정해야 하고 일하는 사람 누구나 법의 보호를 받을 수 있도록 근로기준법을 바꿔야한다”고 덧붙였다.

“정부 정책 실패로 오른 물가, 노동자에게 전가 말라”
공공운수노조 전국교육공무직본부 손경숙 경기지부 화성오산지회장은 “5월은 어린이날과 어버이날 같은 기념일이 이어져 가정의 달이라고 하지만 노동자들의 마음은 무겁기만 하다”며 “올해만 해도 최저임금이 2.5% 오르는 동안 물가는 3.6%가 올랐다”고 지적했다.
손 지회장은 “윤석열 정부는 월급이 오르면 물가가 오른다며 최저임금마저 더 깎겠다고 나서면서도 부자 세금 깎고 재벌 규제 푸느라 여념이 없다”고 꼬집었다.
그는 “비정규직 차별도 눈물 나는데 최저임금 깎는 건 굶어 죽으라는 것”이라며 “노인은 나이 많아 깎고, 강원도는 인구 없어 깎고 이제 이주노동자까지 깎자고 하는데 정부 정책 실패로 오른 물가를 왜 노동자에게 전가하느냐”고 규탄했다.
“양회동 열사에서 보듯 전태일 정신 여전히 살아있어”
건설노조 서울경기북부건설지부 김상윤 청년위원장은 윤석열 정부의 노조탄압이 몰아친 후 열악해진 현장 분위기를 증언했다.
김 청년위원장은 “작년 내내 이어진 건폭몰이 이후 건설현장은 10년 전으로 돌아간 수준이 됐다”며 “사측이 조합원들에게 노조 탈퇴서를 가져오면 일하게 해주겠다고 협박을 하는데 정작 그렇게 노조 울타리를 떠난 이들은 고용불안ˑ장시간노동ˑ임금체불에 허덕이는 상황”이라 밝혔다.
그는 자신 역시 노조 간부라는 이유로 잘린 후 투쟁 중이라 밝히며 “작년 5월 퇴직한 뒤 밤늦게 음식배달로 생계를 이어왔지만 동지들과 함께 했던 건설노조의 투쟁은 너무나도 정당했고 보람찼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양회동 열사는 살아생전 자신의 생계보다 조합원 동지들을 걱정하며 일감을 나눠줬다”며 “배를 굶어가며 어린 시다 여공들에게 풀빵을 사주고 잔업을 대신해줬던 전태일 정신은 지금도 민주노총의 정신으로 살아있다”고 덧붙였다.
이어 “우리는 어려운 시기를 뚫어내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으나 노동자가 존중받는 사회는 우리의 투쟁으로만 만들어낼 수 있다”고 강조했다.

“노동조합, 민주주의 방어하는 가장 큰 조직”
각계 연대사도 이어졌다.
이태원 참사 유가족협의회 이경민 운영위원장은 “이태원 특별법과 노조법 2ˑ3조 개정안은 생명과 인권을 지키기 위한 시도인 만큼 그에 부당하게 거부권을 행사하는 행위를 거부해야 한다”며 “생명과 인권이 존중되는 평범한 세상을 위해 민주노총과 함께하겠다”고 밝혔다.
뤽 트리앙글레 국제노총(ITUC) 사무총장 역시 “민주주의를 억압하는 곳에는 노동자 권리 역시 없다”며 “세계 각지에서 노조는 민주주의를 방어하는 가장 큰 조직”이라 강조했다.
그러면서 “우리의 투쟁은 더 많은 민주주의, 더 많은 일자리, 더 많은 사회보장, 더 많은 평등과 직결된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날 민주노총이 주최한 노동절 집회는 전국 14개 지역(인천, 충북, 대전, 세종충남, 전북, 광주, 전남, 대구, 경북, 부산, 울산, 경남, 강원, 제주)에서 동시다발로 이뤄졌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