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대통령 8.15경축사서 또 ‘건국’ 주장하고 안중근 의사 순국 장소도 틀려

박근혜 대통령이 15일 광복절 경축사에서 또 ‘건국’ 주년을 언급한 것은 물론, 안중근 의사의 순국 장소도 잘못 가리켜 대통령으로서 합당한 역사인식을 갖고 있는지 국민적 불신을 자초했다. 가뜩이나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관한 12.28졸속합의와 이를 낳은 저자세 외교에 비판여론이 들끓는 상황에서 더더욱 비난을 부를 것으로 보인다.
박 대통령은 이날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제71주년 광복절 경축사에서 “오늘은 제71주년 광복절이자 건국 68주년을 맞이하는 역사적인 날”이라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지난해 광복절에도 “오늘은 광복 70주년이자 건국 67주년을 맞는 역사적인 날”이라고 발언, 뉴라이트의 ‘건국절’ 주장에 동조하는 것이냐는 비판을 산 바 있다. 그동안 우리 정부는 1948년 8월15일을 ‘정부 수립일’이라고 규정했지 ‘건국절’이라 부르지 않았다.
이렇게 박 대통령이 벌써 두 해째 8.15 광복절을 맞아 ‘건국’을 강조한 것은 결과적으로 임시정부의 정통성을 부인하고 이승만 정권에 정통성을 부여하려고 기도해 온 뉴라이트세력의 ‘건국절’ 주장에 사실상 동조하고 있음을 숨기지 않은 것이다.
박 대통령의 역사 인식 문제는 앞서 지난 12일 청와대에서 있은 원로 애국지사 및 독립유공자 유가족 초청석상에서 광복군 출신의 원로 독립운동가 김영관(92)옹이 뉴라이트의 ‘건국절’ 주장에 빗대 신랄하게 비판한 바 있다. 김옹은 참석자 대표 인사말을 통해 박 대통령에게 “대한민국이 1948년 8월15일 출범했다고 이날을 ‘건국절’로 하자는 일부의 주장이 있는데, 이는 역사를 외면하는 처사뿐 아니라 헌법에 위배되고, 실증적 사실과도 부합되지 않고, 역사 왜곡이고, 역사의 단절을 초래할 뿐”이라고 ‘건국절’ 주장을 강하게 비난했다.
박 대통령은 또 이날 경축사에서 안중근 의사의 순국 장소를 잘못 말했다. 박 대통령은 “안중근 의사께서는 차디찬 하얼빈의 감옥에서 ‘천국에 가서도 우리나라의 회복을 위해 힘쓸 것’이라는 유언을 남기셨다”고 말했다.
그러나 안 의사가 순국한 장소는 위인전을 읽었다면 초등학생도 알고 있듯 뤼순감옥이다. 뤼순감옥은 안 의사 말고도 단재 신채호 선생과 우당 이회영 선생 등이 옥사한 곳이기도 하다. 청와대가 뒤늦게 “뤼순감옥”이라고 정정했지만 박 대통령은 물론 현 청와대 구성원들의 역사인식에 근본적인 물음표를 던지게 만든 사건이란 비판이다.
기동민 더불어민주당 원내대변인은 이날 현안 (추가)브리핑에서 박 대통령이 안 의사 순국 장소를 잘못 말한 것과 관련해 “제71주년 광복절, 대통령이 보낸 순국선열에 대한 경의도 퇴색될 수밖에 없다. 단순한 실수일 수도 있다. 하지만 건국절 주장, 굴욕적인 한일 위안부 합의 등 현 정부의 그릇된 역사인식과 겹쳐져 우려스럽다”고 비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