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2일 국방부가 매년 기한을 갱신하는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한일군사협정)을 한 해 더 연장하겠다는 입장을 밝히자 (사)우리겨레하나되기운동본부(겨레하나)가 “(협정 연장은)판문점선언을 훼손하는 결정”이라고 규탄성명을 발표했다.
겨레하나는 국방부가 “한일관계와 국방·외교 측면에서 실익이 존재하고, 북한(조선)의 비핵화 및 평화정착 과정에서 한일간 전략적 소통이 필요하다”는 이유로 한일군사협정을 연장한 것에 대해 “일본 정부의 식민지배 사죄배상 없는 한일관계에서 군사협력이 어떠한 실익이 존재한다는 말인가”라고 따져묻곤 “식민지배 인정도 사죄도 없는 일본과의 군사협력을 반대하며, 역사를 부정하는 문재인 정부의 결정을 규탄한다”고 밝혔다.
겨레하나는 또 한일군사협정 연장이 “북한을 적대시하는 냉전질서를 유지하고, ‘북핵’ 문제를 한일간의 군사협력으로 해결하겠다는 낡은 방식을 고수하겠다는 의미”라고 규정하곤 “이는 판문점선언을 심각하게 훼손하는 결정”이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문재인 대통령에게 “국방부의 결정을 취소하는 결단을 내려야한다”고 촉구했다.
| [성명] 판문점선언 훼손하는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 연장 결정을 규탄한다 결국 우려하던 일이 현실로 되었다. 일본 정부의 식민지배 사죄배상없는 한일관계에서 군사협력이 어떠한 실익이 존재한다는 말인가? 이는 2016년 한일군사협정 체결 당시, 비판의 목소리가 들끓었던 이유이기도 하다. 더욱이 한일군사정보협정 연장은 판문점 선언을 심각하게 훼손하는 결정이다. 판문점 선언에서는 일체의 적대행위를 중단하고 올해 안에 종전을 선언하는 등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을 위해 적극 협력해나가기로 하였다. 북이 비핵화 의지를 선언한 이후 핵시험 중단, 풍계리 핵시험장 폐쇄 등으로 실천하고 있으며, 우리 정부는 9월 유엔총회에서 종전선언을 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때에 한일군사협정 연장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북한을 적대시하는 냉전질서를 유지하고, ‘북핵’문제를 한일간의 군사협력으로 해결하겠다는 낡은 방식을 고수하겠다는 것이다. 이번 결정은 한반도의 새로운 평화체제의 걸림돌을 스스로 만드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2018년 8월24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