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역사정의평화행동·자주통일평화연대가 17일 서울 종로구 일본대사관 인근에서 을사늑약 120년, 역사정의와 평화 그리고 올바른 한일관계를 위한 각계 기자회견을 열고 규탄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뉴시스
한일역사정의평화행동·자주통일평화연대가 17일 서울 종로구 일본대사관 인근에서 을사늑약 120년, 역사정의와 평화 그리고 올바른 한일관계를 위한 각계 기자회견을 열고 규탄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뉴시스

을사늑약 체결 120년을 맞아 시민사회는 일본의 역사 왜곡과 군국주의적 행보를 강력히 규탄하며, 이재명 정부가 과거사를 외면하고 한일 군사 협력에 매달리는 굴종적 외교를 중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한일역사정의평화행동과 자주통일평화연대는 17일 오후 일본대사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일본의 식민지 지배 책임 회피와 우경화, 그리고 이를 견제하지 못한 한국 정부의 대응을 강하게 비판했다. 이들은 “완전무장한 일본군을 앞세운 을사늑약은 국제법상 대표적인 무효 사례”라며 “120년이 지난 지금까지 일본 정부는 식민 지배와 전쟁범죄 책임을 부정하며 피해자들에게 2차 가해를 반복해 왔다”고 지적했다.

이나영 정의기억연대 이사장(강경란 연대운동국장 대독)은 을사늑약을 “강압과 공포 속에 체결된 원천 무효의 폭력”이라고 규정하며 “일본 정부는 여전히 일본군 성노예제와 불법 점령 책임을 부정하고 극우 담론을 방치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어 “역사 부정은 과거가 아니라 미래를 훼손하는 범죄”라며 일본의 태도 변화를 촉구했다.

박석운 한일역사정의평화행동 공동대표는 일본의 군사 노선 전환을 강력히 경고했다. 그는 “일본이 다시 총칼로 일어서겠다는 군국주의 노선을 시작하고 있다”며 “강제동원, 후쿠시마 오염수 투기, 일본군 위안부 문제 등에서 한국 정부가 지금 본격적으로 문제를 제기해야 할 때”라고 말했다.

이부영 자유언론실천재단 명예이사장은 일본 정치의 흐름을 언급하며 “다카이치 총리는 아베의 군국주의 노선을 시대착오적으로 답습하려 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그는 “한국과 일본 모두에서 시민들의 변화가 커지고 있지만, 미국과 일본의 압박이 여전한 만큼 시민사회가 지속적으로 문제 제기하고 싸워 한다”고 강조했다.

이은정 자주통일평화연대 상임대표는 일본의 군사력 확장과 역사 부정이 한반도와 동북아 전체를 다시 불안정으로 몰고 가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독도는 일본 땅이라는 망언까지 서슴지 않으며 2차 가해를 반복하고 있다”며 “이재명 정부는 미래지향적 협력 뒤에 숨어 굴욕적 한일·한미일 군사 협력으로 나아가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어 “주권과 평화를 지키는 원칙 있는 외교로 전환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김영환 민족문제연구소 대외협력실장은 “을사늑약 이후 강제 병합과 식민 지배의 상처는 아직도 해결되지 않았다”며 “다카이치 정권의 군국주의·헌법 개정 노선은 동아시아 전체를 전쟁 위험으로 몰아넣는 일”이라고 우려했다. 그는 “한국과 일본 시민이 함께 식민주의 극복과 평화 실현에 힘을 모아야 한다”고 밝혔다.

참가자들은 이토 히로부미와 다카이치 사나에 총리를 규탄하는 스티커를 붙이는 상징 퍼포먼스를 진행하며 일본의 역사 부정과 군사 팽창에 대한 강한 반대 의지를 강조했다.

저작권자 © 현장언론 민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