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 30년, 그 기록과 미래
“항상 길을 열어준 민주노총”
“민주노총만이 할 수 있다” 확신
“최악 속에도 물러서지 않았다”

20251111-민주노총 30주년 기념식 ⓒ 민주노총
20251111-민주노총 30주년 기념식 ⓒ 민주노총

95년, 41만 명으로 시작한 민주노총이 30년을 맞아, 그동안의 풍파를 되새기고 ‘모든 노동자의 민주노총’으로 거듭날 새로운 30년을 결의했다.

11일 민주노총이 30번째 생일을 맞이하여, 서울 동작구 여성플라자에서 민주노총 30년사 출판기념회 및 30주년 기념식을 개최했다. 초대 위원장인 권영길 지도위원과 단병호 전 위원장도 자리했고, 그간 연대를 이어온 김명동 한국노총 위원장도 함께했다.

시민단체들도 축사를 보내왔다. 참여연대는 민주노총에게 ‘든든한 친구’와 함께하겠다 전했고, 하원호 전국농민회총연맹 의장은 함께 윤석열 정권을 끌어내렸던 당시를 회상하며 “전봉준의 꿈을 실현하는 그날까지, 근로기준법 준수라는 전태일의 외침이 실현되는 그날까지, 지난 30년처럼 함께 싸워 함께 승리하자”고 축사를 보냈다.

민주사회를위한변호사 모임 회장인 윤복남 변호사는 “민주노총은 노동자, 민중이 탄압받는 질곡의 시대에도 노동자 권리를 지키는 노력을 그치지 않았고, 사회적 약자와 동행하며 지금까지 달려왔다”며 “노동 없는 민주주의는 없으며, 앞으로도 모든 노동자의 민주노총이 되기를 바라며 그 여정을 계속 응원한다”고 전했다.

20251111-민주노총 30주년 기념식 ⓒ 민주노총
20251111-민주노총 30주년 기념식 ⓒ 민주노총

양경수 민주노총 위원장은 감사의 뜻을 표하며 “이후 30년도 모두가 함께 내딛는 한 걸음을 준비해 갔으면 한다”는 바람을 전했다. 그는 “민주노총의 30년은 조합원만의 것도 아니고, 간부만의 것도 아니”라며 “한국 사회의 진보와 변혁을 원하고 마음을 나눴던 모두의 30년”이라고 말했다. 

이어 “한국 사회가 겪고 있는 다양한 위기들, 다양한 문제들을 해결하는 힘은 노동조합만이, 민주노총만이 할 수 있다고 확신한다”며 “민주노총이 민주노총답게 민주노총 할 수 있도록 함께해 달라”고 전했다.

앞서는 민주노총 30년 역사를 집대성한 ‘민주노총 30년사’ 출판기념식이 열렸다. 민주노총 30년의 풍파를 기록한 했다. 

편찬 총괄을 맡은 김성혁 연구원장은 "민주노총은 1995년 창립 당시 41만6천 명이던 조합원이 2024년 106만 명으로 두 배 가까이 늘었고, 여성과 비정규직 조합원의 비중도 많이 증가했다”며 “이제는 대공장 중심의 조직을 넘어 모든 노동자의 대표로 나서고 있다”고 평가했다.

그는 “‘총파업’은 민주노총의 핵심 전투력이었다”면서도 “비록 뻥 파업이라는 비판을 받기도 했지만, 총파업은 절박한 상황을 외면할 수 없었던 민주노총의 책임감 때문이었다”고 밝히며 “이는 최악의 조건 속에서도 물러서지 않는 민주노총의 정신을 상징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조돈문 전 정책자문위원장도 “민주노총 30년사는 단순한 기록집이 아니라, 한국 노동운동의 정사”라며 “민주노총이 스스로 역사와 책임을 성찰하고, 향후 30년의 방향을 제시하는 출발점이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20251111-민주노총 30주년 기념식 ⓒ 민주노총
20251111-민주노총 30주년 기념식 ⓒ 민주노총

 

저작권자 © 현장언론 민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