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사면 앞두고 다시 시작된 마녀사냥
횡령보다 많은 금액 기부, 언론은 침묵
국힘-보수언론, 윤미향 사면 앞두고 공조

국민의힘과 보수언론이 다시 같은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다. 이번 8·15 사면을 두고 주류 언론이 두 번째 마녀사냥을 시작한 거다. 조선일보는 ‘광복절 특사 대상에 ‘위안부 피해자 후원금 횡령’ 윤미향도 있다‘는 보도를 내며 과거 혐의를 다시 부각하고 나섰다.

ⓒ 조선일보 갈무리

법무부는 7일, 정부과천청사에서 이재명 정부의 첫 특별사면을 단행하기 위한 사면심사위원회를 열고 특별사면 대상자를 논의했다. 여기에 조국 전 조국혁신당 대표, 최강욱·윤미향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자 조선일보뿐만 아니라, 서울경제 <"'위안부 횡령' 윤미향도 면죄부 주나"…국힘, 광복절 사면 맹폭> 매일신문 <'위안부 후원금 횡령' 윤미향 사면 논란…野 "들끓는 민심에 기름 부어"> 등 보도를 내며 국민의힘 관계자의 비판 발언을 인용했다. 사실상 두 번째 마녀사냥이 시작된 셈이다.

윤미향 전 의원과 조국 전 조국혁신당 대표는 전형적인 언론 마녀사냥의 피해자다. 이들을 향한 정치적 공세는 단순 오보 차원이 아닌, 인권유린이었다. 윤 전 의원의 경우, 이 과정에서 단짝이던 손영미 정의기억연대 마포쉼터 소장을 잃기도 했다. 또한, 이미 해명된 의혹에서 보수언론이 끝없이 달려들어 들어 고초를 겪었다.

대표적인 게 ‘한 맥주집에서 3천만 원이 넘는 금액을 집행했다’는 내용을 언론사가 받아 쓴 것인데, 해당 지출은 2018년 정의기억연대의 ‘모금사업비’로 140여 곳에 쓴 지출총액을 공시한 것이었다. 당시 국세청 공시자료 서식은 지출목적에 따라 지출금액이 가장 큰 대표 거래처 한 곳에 쓰게 되어 있어 오해를 불러일으킨 거다. 그러나 TV조선은 해당 논란이 일단락된 뒤에도 <이것이 정치다>에서 해당 논란을 반복했다.

또한, 2020년 조선일보는 <딸 미국 유학보낸 윤미향 부부, 소득세는 5년간 640만원> 보도를 통해 김경율 경제 민주주의31 대표의 발언을 인용하며 “유학 비용을 어떻게 마련했는지 의구심이 든다”고 의문을 제기했다.

그러나 검찰은 해당 내용에 대해서는 불기소 처분을 내렸다. “3억 원에 달하는 유학자금은 윤 의원 부부 및 친인척의 자금, 윤 의원 배우자의 형사보상금 등으로 대부분 충당된 것으로 확인된다”고 판단한 거다.

그러나 언론은 해명된 의혹이나, 윤 전 의원에게 유리할 만한 내용은 거의 보도하지 않았다. 검찰은 과거 윤 전 의원의 영수증을 모조리 끌어모아 횡령 혐의를 입증하려 했으나 그 과정에서 윤 전 의원이 횡령 금액보다 훨씬 많은 1억 이상을 오히려 한국정신대책협의회에 기부한 게 드러났다. 이 역시 언론은 거의 다루지 않았다.

사면 이야기가 나오자 언론은 다시 마녀사냥을 시작할 것으로 보인다. 벌써 국민의힘은 “윤미향까지 사면하겠다는 이재명 정부, 제정신이냐”며 언론이 받아쓸 논평을 내놓고 있다. 

정치권과 언론이 반복해온 ‘마녀사냥식 공세’는 사건의 실체를 가리는 동시에, 국민의 합리적 판단을 왜곡시킨다. 이번 광복절 사면을 둘러싼 논란이 과거의 낡은 프레임 재탕이 아니라, 사실과 균형 위에서 평가되는 계기가 되어야 한다.

저작권자 © 현장언론 민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