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0월 22일 경찰은 자주시보 김병길 대표, 김영란 기자, 문경환 기자, 박한균 전 기자에 대한 압수수색을 진행했다. 윤석열이 그 해 광복절 연설에서 "우리 사회 내부에 자유민주주의 체제 위협하는 반국가세력들이 곳곳에서 암약"한다는 발언 전후로 국가보안법 압수수색이 이어졌다. ⓒ 자주시보
2024년 10월 22일 경찰은 자주시보 김병길 대표, 김영란 기자, 문경환 기자, 박한균 전 기자에 대한 압수수색을 진행했다. 윤석열이 그 해 광복절 연설에서 "우리 사회 내부에 자유민주주의 체제 위협하는 반국가세력들이 곳곳에서 암약"한다는 발언 전후로 국가보안법 압수수색이 이어졌다. ⓒ 자주시보

자주시보 문경환·김영란 기자를 비롯해 박한균 전 기자가 1일 오전 체포됐다.

문경환 기자는 이날 오전 6시 25분경 자택 앞에서 체포됐다. 경북경찰청은 문 기자가 경찰의 출석요구에 불응했다며 체포해 현재 남양주남부경찰서로 이송했다.

지난해 12.3내란 한 달여 앞둔 10월 22일, 문 기자는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경북경찰청으로부터 압수수색을 받았다. 당시 문 기자는 변호인단을 통해 수사기관에 진술거부권 행사를 밝히며, 무용하고 소모적인 피의자신문을 위한 출석요구를 하지 말 것을 요청했다. 그 후 문 기자는 경찰의 출석요구에 응하지 않았다.

경찰은 이날 오전 8시 30분께 김영란 기자도 체포했다. 자택 앞에서 체포된 김 기자는 동대문경찰서로 이송됐다. 서울경찰청은 김 기자가 경찰의 출석요구에 불응했다며 체포해 현재 동대문경찰서로 이송했다. 김 기자는 지난해 10월 22일 문 기자와 같은 날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서울경찰청으로부터 압수수색을 받았다. 김 기자도 문 기자와 같은 이유로 경찰의 출석요구에 응하지 않았다.

이날 오전 9시 50분께 서울경찰청은 박한균 전 기자를 자택 앞에서 체포해 현재 성북경찰서로 이송했다. 박 전 기자도 김, 문 기자와 같은 이유로 경찰의 출석요구에 응하지 않았다.

저작권자 © 현장언론 민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