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캐나다에서 열리는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16일 출국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단독회담 여부에 관심이 쏠린다.

하지만, 이재명 정부가 천명한 ‘국익 중심 실용외교’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트럼프 대통령과의 단독회담은 피하는 게 바람직하다.

트럼프 대통령은 G7 회의에 참석하는 각국 정상들과의 양자 협상을 통해, 미국이 정한 상호 관세율을 일방적으로 통보하겠다는 속셈을 숨기지 않았다.

트럼프 대통령은 출국 전 백악관에서 “G7 정상회의에서 무역 합의가 발표될 수 있느냐”는 질문에 “우리는 매우 좋은 합의를 갖고 있다”며, “우리가 해야 할 일은 ‘이것이 당신이 내야 할 금액’이라고 적힌 서한을 보내는 것”이라고 답했다. G7 무대를 빌려 약탈적 관세 폭탄을 던지고, 각개격파 하겠다는 의도다.

영국을 제외한 다른 참가국들은 미국과의 관세 협상 타결을 미루고 있다. 언제든 방향을 바꿀 수 있는 트럼프의 ‘미치광이 전략’에 말려들지 않으려는 것이다.

G7 회원국도 아니고 옵서버(Observer) 자격으로 초청받은 한국이 굳이 불리한 양자 협상에 나설 필요는 없다. 이재명 대통령이 트럼프 대통령과 마주 앉는 순간, 관세 폭탄을 피하기가 오히려 더 어려워질 수 있다. 더욱이 돌출적인 트럼프 대통령의 외교 스타일을 감안하면, 방위비 분담금이나 알래스카 가스관 사업 등 과거 한덕수 전 총리와 나눈 약속 이행을 요구하는 황당한 제안을 쏟아낼 수도 있다. 이런 점에서 양자회담은 피하는 것이 상책이다. 그래야 국익을 지킬 수 있고, 그것이 바로 실용외교다.

애초에 이번 G7 정상회의 참석은 민주주의 위기 극복과 함께 “민주 한국이 돌아왔다”(Democratic Korea is back)는 메시지를 국제사회에 알리는 데 목적이 있다. 또 지난 6개월간 멈췄던 정상외교의 공백을 해소하고, 외교 복원의 출발점을 알리는 계기였다. 이 대통령이 정상회의에 참가한 것만으로도 소기의 목적은 달성된 셈이다.

물론 트럼프 대통령과 양자회담 없이 귀국할 경우, 국민의힘은 미국에 패싱당했다는 식의 악의적 선전을 펼칠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내란 잔당의 비난이 두려워 국익을 내팽개치는 어리석은 선택은 절대 해서는 안 된다.

저작권자 © 현장언론 민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