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건희와 명태균 사이 통화육성 공개
진보당 “‘비상계엄 핵심동기’ 연결된 특대형 사건”
민주당 “명태균특검법으로 헌정 질서 바로 세워야”
25일, 윤석열 탄핵심판이 최종변론만 남기고 막바지로 치닫는 가운데, 윤석열의 비상계엄 의도와 김건희와의 관련성에 궁금증이 증폭된다.
국회에서 김건희와 명태균 사이의 통화육성이 처음으로 공개됐다.
지난해 10월 31일, 윤석열과 명태균의 통화 녹취록이 공개된 이후에 김건희의 육성이 등장한 것.

윤석열의 대통령 취임식 전날인 2022년 5월 9일. 이날은 국민의힘 보궐선거(경남 창원의창) 공천 발표 전날이었다. 김건희는 “윤 당선인이 ‘김영선을 그냥 밀어줘라’고 했다”며 명태균에게 알려준다. 그리곤, “당선인 이름 팔지 말라”고 덧붙였다. 당시 권성동, 윤한홍 의원 등이 반대하는 상황에서 김건희는 “너무 걱정 말라. 잘 될 거니까 지켜보자”고 안심시켰고, 이에 명태균은 “잊지 않겠다. 내일(대통령 취임식에서) 같이 뵙겠다”고 했다.
다음 날, 국민의힘 공천관리위원회는 김영선 전 의원을 창원의창 선거구에 단수 공천했다. 이렇듯 당시 국민의힘 공천은 윤석열 부부의 전횡에 멋대로 좌우됐다.
그동안 대통령실은 공천개입 의혹에 대해 “공천개입은 없었다”면서 “당시 윤 당선인은 공천관리위원회로부터 공천 관련 보고를 받은 적도 없으며, 또 공천을 지시한 적도 없다”는 입장을 고수해 왔다. 결국 거짓말이었다.
김건희-명태균의 통화 녹취록이 공개된 25일 진보당 정혜경 원내대변인은 브리핑에서 “검사 윤석열은 범죄의 중대함을 잘 알 것이다. 검사 시절 본인이 박근혜 공천개입 사건으로 기소하고 8년 형을 구형하지 않았는가. 부부가 쌍으로 당무를 주물렀으니, 더 악질”이라고 꼬집었다.
김건희-명태균 통화와 ‘비상계엄’의 상관관계
명 씨가 통화녹취 공개를 밝힌 바로 다음 날 윤석열은 비상계엄을 선포했다. 계엄 직전, 조태용 국정원장과 문자메시지를 주고받았다는 사람도 김건희다.
정 원내대변인은 여기에 더해 “경호차장과 검찰이 결사적으로 숨기는 ‘비화폰’도 모두 김건희를 가리키고 있다”고 논평했다. 지난 1월, 윤석열이 비상계엄 선포 당일 우선 소집한 장관들 모두가 비화폰을 보유했고, 또 한 명 김건희에게도 비화폰이 지급됐다는 의혹이 제기돼 김건희와 계엄의 연관성에 대한 의구심이 증폭되는 중이다.
민주당 박찬대 원내대표는 25일 원내대책회의 발언에서 “특검으로 윤석열·김건희 부부와 명태균의 공천개입·여론조사 조작·중대범죄의 전모를 낱낱이 밝혀야 무너진 헌정 질서를 바로 세울 수 있다”고 강조했다.
앞서 노상원 수첩이 공개된 후인 지난 16일, 박 원내대표는 “명태균게이트는 비상계엄의 트리거였다”면서 “황금폰에 들어있는 온갖 녹취와 증거를 막고, 자신과 김건희의 처벌을 막으려면 한동훈을 비롯한 반대파를 숙청하고 영구집권을 하는 방법밖에 없다고 판단했을 것”이라고 했다.
노상원 수첩 안에 ‘수거 대상’은 500여 명, 이들을 처리하기 위한 실행계획으로는 “무인도나 북한 접경지대에 수용한 뒤 자체 사고 처리한다. 사살, 폭파, 침몰, 격침, 화재, 수류탄” 등의 내용이 담겨있었다.
또, 수첩은 “헌법, 법 개정”, “3선 집권 구상 방안”, “후계자는?” 등 비상계엄 후속 조처로 짐작할만한 내용까지 담고 있다.
비상계엄과 노상원 수첩, 그리고 김건희-조태용 문자가 명태균게이트와 연관돼 있다는 의심이 커지는 대목이다.
내란의 목적, 계엄의 목적은 ‘장기 집권’을 향해 있었고, 명태균게이트가 하나의 방아쇠가 되었을 수 있단 뜻이다.
최근 검찰이 강혜경 씨의 휴대전화를 확보한 작년 3월에 이미 명태균 의혹을 인지하고 있었다는 게 밝혀졌다. 공교롭게도 작년 3월은 윤석열이 ‘비상 대권’ 운운하며 비상계엄 논의에 착수했던 시기이기도 하다.
반대파들에 대한 수거 및 처리를 모의하고, 사전 준비와 치밀한 계획으로 영구집권을 노렸음을 암시한다.
한편, 지난 14일 김용민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한 방송사 유튜브 방송에 출연해 “후계자가 계엄의 설계자이기도 한 건가?”, “문자를 보낸 그분이라고 생각하는 건가?”라는 진행자의 물음에, 가능성을 열어두는 듯한 답변을 내놓았다.
앞서, 진보당도 18일 경찰 국가수사본부 앞을 찾아 김건희에 대한 수사를 촉구할 당시 “진짜 계엄사령관은 누구인가?”라고 따져 물은 바 있다.
정혜경 원내대변인은 “이번 일은 ‘비선 당무·공천개입’에 ‘비상계엄 핵심동기’까지 연결된 특대형 사건”이라며 “‘명태균 특검법’을 27일 본회의 처리 후 즉시 공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비상계엄의 전모를 낱낱이 밝히는 방법, 헌법재판소의 ‘파면’과 더불어 ‘명태균 특검법’으로 향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