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년, 을사늑약 120년과 광복 80년이라는 상징적 해를 맞았지만 대한민국은 내란의 혼란 속에 새해를 맞이했다. 내란 혐의로 체포 영장이 발부된 윤석열 대통령은 관저에 머물며 "끝까지 싸우겠다"는 태도를 고수하고 있다. 관저 앞에서는 윤 대통령의 체포를 막기 위한 지지자들의 불법 집회가 이어지며 혼란이 가중되고 있다. 이에 반발해 시민사회단체와 진보 진영은 ‘윤석열즉각퇴진·사회대개혁 비상행동’의 이름으로 1월 2일, 윤석열 관저 앞에서 신년 기자회견을 열고 내란 사태 종식을 촉구했다.
한국진보연대 박석운 상임대표는 체포 영장을 거부하는 윤석열에 대해 “검찰 총장을 하고, 대통령을 한 사람이 사법적 절차를 무시하고 있는 꼼수를 쓰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리고 “윤석열은 지지자, 경호처를 자신의 순장 조로 만들고 있다”고 말했다.
참여연대 진영종 공동대표는 “윤석열 헌법을 위반했다는 사실에 한 줌도 안 되는 정치인과 각료들이 반항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범법자들을 빨리 그들이 가야 할 곳으로 보내고 새로운 사회를 힘차게 만들어 나가자”라고 호소했다.
성소수자차별반대 무지개행동 이호림 집행위원은 “윤석열은 관저에서 내란 선동 메시지를 보내고, 최상목 권한대행은 헌법재판관 선별 임명이라는 초헌법적인 권력을 휘두르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남태령에서 폭발한 연대의 힘으로 2025년, 차별과 배제, 불평등에 고통받지 않는 사회로 함께 나가자”라고 호소했다.
전국여성연대 한미경 상임대표는 “을사년, 12월 3일 내란 사태를 종결하지 못하고 새해를 맞았다”고 말했다. 이어 “광장에서 토론하고 연대하고 투쟁하며 주권자가 진정한 주인으로 거듭나는 사회를 만들어 가자”고 강조했다.
한편, 윤석열 대통령은 체포 영장에 대해 권한쟁의심판을 청구하고 효력정지 가처분 신청을 내며 맞서고 있다. 최상목 권한대행은 국회 추천 헌법재판관을 선별 임명하며 논란을 일으켰다. 이는 헌법적 절차를 넘어선 초헌법적 권력 행사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
비상행동은 “수백만 명의 시민들이 여의도와 광화문, 한남동 관저와 남태령을 채웠다”며 “우리는 어디에나 있었고, 누구나 함께 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많은 고비가 남았지만, 광장에 더 많이 모여 달라”고 호소했다.
비상행동은 체포영장 집행 기간인 2~6일 동안 매일 ‘윤석열 즉각 체포 촉구 긴급 행동’을 진행한다. 또한 4일 오후 4시, 광화문 동십자각에서 제5차 윤석열 즉각 퇴진! 사회대개혁 범시민대행진을 진행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