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윤석열 거부한다 3차 시민행진'
다음주 3차 민중총궐기로 더욱 커지는 퇴진 광장

주말마다 윤석열을 거부하는 시민행진이 광화문부터 명동을 뜨겁게 달구고 있다. 30일 오후 5시 30분, ‘김건희·채상병 특검 추진, 국정농단 규명! 윤석열을 거부한다 3차 시민행진’이 광화문 북측광장에서 진행됐다.
윤석열 거부 시민행진은 시민사회가 표현은 조금 다르지만, 윤석열 정권을 이대로 두면 안 된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한자리에 모여 한목소리를 내고 있다. 사전에 시민들에게 발언 신청을 받고, 행진도 경쾌하게 진행하는 것이 특징이다.
아프지 말고 다치지 말고 무사 귀환 부모연대 이밀 씨는 “군 장병의 죽음 앞에, 국가는 어디 있는가? 물을 수밖에 없다”며 “나라를 지키는 대한민국 청년들을 진급의 수단으로 삼고, 진실을 감추기 위해 협력하는 자들에게 시간은 관대하지 않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거제 조선소 하청노동자 김형수 씨는 “2022년 파업에 470억이라는 천문학적인 손해배상이 청구되었고, 검찰은 저에게 4년 6개월을 구형했다”고 밝혔다. 또한 “올해만 5명의 하청노동자가 사망했다”며 “하청노동자가 차별받지 않는 세상, 함께 만들어가자”라고 호소했다.
환경운동가 이동이 씨는 “부산에서 진행되고 있는 플라스틱 생산을 규제 국제회의장은 너무 좁아서 정부 관계자들도 못 들어가고, 플라스틱을 감축하자는 회의에 일회용품이 깔려 있다”며 윤석열 정부의 무능을 폭로했다.
접경지역 주민 이재희 씨는 “(접경지역에서는) 윤석열 대통령이 당선된 그날부터 이미 전쟁이 시작되었다”라고 말했다. 이어 “윤석열은 제발 아무것도 하지 말고 그냥 내려오라”고 호소했다.
최근 4천300여 명의 교수들, 천주교 사제들을 비롯한 종교인들도 윤석열의 민주주의 파괴와 권력 사유화를 규탄하며 퇴진을 요구하는 시국 선언을 이어가고 있다. 김건희 특검법 거부권 행사와 국정농단 의혹, 선거 개입 등의 논란 속에서 정부에 책임을 촉구하는 목소리는 날로 커지고 있다.
12월 7일은 3차 민중총궐기가 있다. 전국의 노동자, 농민, 빈민 등이 한자리에 모여 윤석열 퇴진을 외친다. 이후에는 윤석열 거부 시민행진도 이어진다. 윤석열 퇴진 광장이 날마다 커지는 만큼, 윤석열 퇴진과 사회대전환이 성큼 다가오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