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 각지에서 윤 퇴진 뜻 모여"
"박정훈 무죄가 윤 위법 증거 1호"
"KBS 사장 지명 개입 의혹 밝혀야"

광화문 북측광장 앞 도로가 촛불로 가득 찼다. 추워지는 날씨에도 윤석열 대통령을 향한 시민들의 분노는 더 뜨거워지고 있다.
23일, 지난주에 이어 ‘김건희 채상병 특검추진, 국정농단 규명, 윤석열을 거부한다. 2차 시민행진’이 광화문 북측광장 앞에서 진행됐다. 이번 집회는 정당 아닌, 시민이 중심이 되어 구성됐다.
발언도 정당이 아닌 자영업자, 시민단체 활동가, 농민, 스님, 교수 등 일상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시민들이 채웠다. 이들은 일상에서 쌓인 윤석열 대통령을 향한 분노를 발언을 통해 쏟아냈다.
여성 농민 정영이 씨는 농촌 지역에서도 윤석열 퇴진을 위해 뜻을 모으고 조직하고 있단 소식을 전달하기 위해 상경했다고 전했다. 정 씨는 “윤석열이 거부한 법안을 세다가 너무 많아서 잊어버렸다”며 거부권 1호였던 양곡관리법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양곡관리법은 국민의 식량 주권을 지키는 법안이었고, 그나마 농민들이 안심하고 농사지을 수 있는 최소한의 안전장치였다”며 “대통령은 농업, 농촌, 농민을 내팽개쳤다”고 비판했다.
아울러 “농민들은 이미 오래전에 윤석열을 버렸다”며 “전봉준 투쟁단을 조직했고, 전국 각지에서 천막을 치고 투쟁의 들불을 고을마다 놓아가고 있다”고 전했다. “끝내는 한 길에 하나가 되어 윤석열을 끌어내리고 사회대전환을 함께 만들어가자”고 강조했다.
채 해병 사망 수사외압의 진상규명을 요구하는 군인권활동가 김형남 씨는 “박정훈 대령의 무죄 선고가 윤석열 대통령의 직무상 위법행위를 입증할 증거 제1호가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21일 군 검찰은 박정훈 대령에게 항명죄 법정 최고형인 3년을 구형했다. “피고인은 현재까지 범행 일체를 부인하며 사실과 다른 주장을 하고 있다”며 “이는 군 지휘체계와 군 전체 기강에 큰 악영향을 끼쳐 엄벌의 필요성이 있다”고 구형 이유를 밝혔다.
김 씨는 이를 ‘입틀막 구형’이라고 주장하며 “박 대령의 무죄를 확신한다”고 말했다. 이어 “박 대령의 항명이 무죄라면 명령이 부당한 위법”이라며 “박정훈 대령 무죄 선고는 대통령 윤석열의 직무상 위법행위를 입증할 증거 제1호가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민주언론시민연합 김봄빛나래 활동가는 대통령의 공영방송 장악 시도를 지적했다. 오늘 윤석열 대통령은 KBS 박장범 사장 임명안을 재가했다. 그러나 그의 인사청문회에서 대통령이 인사에 개입한 것으로 의심되는 정황이 드러나, ‘대통령실의 사장 교체 통보 의혹’이 불거지고 있다.
김 활동가는 “박민 사장이 용산으로부터 교체를 통보받았다는 구체적인 증언이 박장범 인사청문회에서 나왔다”며 “사실이라면 대통령이 직접 공영방송 사장 선임에 개입한 것이고 이는 방송법상 KBS 사장 선임 절차를 위반한 분명한 불법이고 국정농단”이라고 질타했다.
“국민의 방송이 윤석열 대통령, 김건희 여사 입맛에 따라 움직이는 지금 이 현실이 너무나도 참담하다”며 “언론 농단을 넘어 공영방송 장악을 통한 국정농단을 획책한 중대 의혹을 명명백백히 제대로 진상 규명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발언이 끝난 뒤 참석자들은 명동까지 행진을 이어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