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권 16곳 우세·박빙이었던 PK
개헌 저지선 100석 이하 위기감에 보수결집
PK 60·70대 이상 사전투표율 역대 최고치
PK서 민주당 지지율 지속 상승...더 이상 보수여당 텃밭 아냐

22대 총선에서 국민의힘은 PK(부산·울산·경남) 소재 지역구 40곳 중 34곳을 얻었다.
여권이 33곳을 획득했던 지난 21대 총선에 비해 오히려 한 석이 늘어난 셈이다.
전국적으로 정권심판 바람이 불었음에도 이 같은 결과가 나온 데 대해 보수층 결집설이 제기된다.
야권 16곳 우세·박빙이었던 PK
개표 직전까지만 해도 PK 지역구 상당 부분은 야권이 우세했다. 야권은 16개 지역 여론조사에서 여당을 앞지르거나 박빙 양상을 보였다.
부산에서는 연제, 수영, 북구갑, 해운대갑, 사하갑 등 5곳이 강세였고, 강서와 북구을, 남구 등 3곳은 박빙이었다. 울산에서는 울산북 1곳이 강세, 남구갑, 동구 등 2곳이 박빙인 한편, 경남에서는 김해을, 창원 성산, 창원 진해, 양산을 등 4곳이 강세, 김해갑 1곳이 박빙이었다.
이중 강세지역 12곳은 모두 오차범위 밖 추월이 이뤄진 곳이었다.
김건희 여사 명품백 수수에서부터 이종섭 전 호주대사의 도주, 대파 사건 등 굵직한 사건들이 누적된 결과였다.
개헌 저지선 100석 이하 위기감에 보수결집
그러나 정작 뚜껑을 열자 야권은 40석 중 6석을 얻는 데 그쳤고, 나머지는 여당의 몫이 됐다.
이는 개헌 저지선인 여권 100석이 뚫릴지 모른다는 위기감으로 인해 보수층이 결집한 효과로 풀이된다.
실제로 선거 6일 전까지 발표된 마지막 여론조사에 따르면 야권이 200석을 넘기고 국민의힘이 100석 미만에 그치는 것은 기정사실이었다.
이에 보수층에서는 국민의힘이 100석 아래로 떨어지게 되면 200석으로 단독 과반을 훌쩍 넘긴 야권은 탄핵은 물론이고 개헌까지도 가능하다는 위기의식이 팽배하게 되었던 것.
이에 수도권 일대 격전지 유세에만 집중하던 국민의힘은 4월 초부터 읍소전략을 택하여 PK의 낙동강벨트를 훑기 시작했다.
PK 60·70대 이상 사전투표율 역대 최고치
여기 발맞춰 한동훈 전 비상대책위원장은 PK일대를 누비며 “자신에게도 기회를 달라”거나 “개헌저지선을 지켜달라”며 보수지지층 결집을 호소했다.
윤 대통령도 부산에서 사전 투표에 참여하며 PK 표를 의식하는 시늉을 취했다.
이에 부산의 60·70대 이상 사전투표율은 42.8%로, 지난 21대 총선 사전투표율 35.4%보다 7.4%나 증가했다. 경남의 60·70대 이상 사전투표율 역시 40.6%로 지난 총선 사전투표율 32.2%를 훌쩍 뛰어넘어 8.4% 증가한 수치를 보여줬다. 반면 20·30·40대 투표율은 4년 전보다 떨어졌다.
여론조사 공표가 금지된 기간에 국민의힘이 택한 읍소전략과 보수결집 호소가 톡톡히 효과를 본 셈이다.
PK 더 이상 보수여당 텃밭 아냐
그러나 이번 총선을 끝으로 PK가 보수의 텃밭이라는 말도 더 이상 통용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20대 대선 결과 윤석열 당시 후보는 PK 지역에서 2,903,739 득표수를 얻었으나, 이번 총선에서 국민의힘은 PK 지역에서 2,378,007표를 얻는 데 그쳤다. 지역구 의석 결과와 별개로 윤 대통령에 투표한 약 53만 명이 정권심판론에 동조했다는 말이다.
1990년 '김영삼의 3당 야합' 전까지 PK는 전통적으로 진보색채가 짙은 곳이었다. 김영삼 전 대통령을 따라 보수정당을 지지해왔던 관성은 노무현 전 대통령을 거쳐 희석되기 시작하여 2010년 경엔 PK 지역 내 ‘낙동강 벨트’라는 야권 강세 구역이 생겨났다.
PK의 보수색채는 문재인 전 대통령을 거쳐 더욱 희미하게 됐으며 22대 총선 여론조사 상의 야권 강세는 그 같은 사정을 반영하고 있다.
단적으로 19대 총선에서 평균 약 36%에 그쳤던 민주당 득표율은 20대 총선에서 40.6%로 상승했고, 이는 이번 총선에서도 유지됐다. 더구나 386세대가 60대가 되는 다음 총선에선 여야 박빙 지역의 승부가 뒤집어질 수 있다.
4.10총선에서 야당 당선자 수가 줄어든 PK지역은 보수 텃밭으로 오인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1표라도 많은 후보가 독식하는 선거 제도로 인해 생긴 착시에 가깝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