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7개 제시민사회단체 참가 ‘윤석열정권퇴진운동본부 준비위원회’ 발족
다음달 15일, 윤석열 퇴진 1차 범국민대회.. 하반기 총궐기 결의

양회동 열사 염원 실현을 위해 투쟁했던 노동시민사회단체가 이제 ‘윤석열 정권 퇴진’ 운동을 위한 조직을 띄우고 투쟁을 본격화했다.

이들은 다음 달 15일 ‘윤석열 퇴진 1차 범국민대회’를 열어 퇴진 투쟁을 대중적으로 선포하고, 하반기 총궐기 결심을 높일 예정이다. 일본 핵오염수 해양투기 저지 투쟁에 총력을 다할 결의도 밝혔다.

▲ 37개 제시민사회단체가 ‘윤석열정권퇴진운동본부’를 결성하고 발족 기자회견을 열었다. ⓒ노동과세계
▲ 37개 제시민사회단체가 ‘윤석열정권퇴진운동본부’를 결성하고 발족 기자회견을 열었다. ⓒ노동과세계

27일, 민주노총과 전국농민회총연맹, 전국여성농민회총연합, 빈민해방실천연대 그리고 여성·청년·종교 단체 등이 참가해 ‘윤석열정권퇴진운동본부 준비위원회’ 발족을 선언했다.

지난 5일 노·농·빈 단체 대표들은 ‘퇴진 운동기구 결성’ 제안서를 낸 후, 각 단체 의견을 수렴해 37개 단체 이름으로 출범을 알린 것.

이들은 “윤석열 정권의 지난 1년은 민중에게 커다란 고통의 시간이었다”며 “반민중 반민생 반민주 반평화 윤석열 정권과 같은 하늘 아래에서 단 하루도 살 수 없다”고 퇴진본부 발족 배경을 설명했다.

ⓒ노동과세계
ⓒ노동과세계

퇴진 투쟁은 이미 시작된 정국이다.

다음 달 3일부터 2주간 총파업에 나서는 민주노총은 ‘윤석열 퇴진’을 총파업 요구로 내걸었다. 지난 겨울 ‘쌀값 보장’을 요구한 농민 단체들은 일찌감치 ‘퇴진’ 구호를 들었다. 지난 4월 윤석열 대통령이 ‘양곡관리법’에 거부권을 행사하자, 농민들은 퇴진 투쟁 불씨를 당겼다. 노점상과 도시빈민 등도 지난 6.13전국노점상대회를 통해 퇴진 투쟁 결의를 마친 바 있다.

양경수 민주노총 위원장은 “건설노동자를 죽음으로 내몰고, 이태원 참사에 책임지지 않는 윤석열 정권은 이제 ‘핵 오염수를 마셔도 괜찮다’며 국민을 기만하고 있다. 해외에 나가기만 하면 국민의 걱정거리를 한아름 안고 오는 정권”이라고 한탄했다.

그는 “정권 취임 1년 남짓 기간이지만 1년간의 악행과 부족함은 이루 다 말할 수 없다”면서 “7월 15일 민주노총 총파업 마지막 날 범국민대회를 열어 온 나라, 온 국민이 함께하는 퇴진 투쟁을 만들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준비위 참여단체엔 한국노총 전국금속노동조합연맹(금속노련)도 이름을 올렸다. 지난달 31일, 금속노련 사무처장이 포스코 광양제철소에서 ‘포스코 하청업체 탄압 중단’을 요구하며 고공농성 하던 중 경찰의 곤봉 세례에 피를 흘리며 체포됐다. 금속노련은 “노동자에 대한 윤석열 정권의 선전포고”라고 규정하고 투쟁 중이다.

“윤석열 퇴진은 농민의 뜻”
“대한민국 도시빈민 2천만.. 퇴진 투쟁 앞장”

하원오 전국농민회총연맹 의장은 “윤석열 퇴진은 농민의 뜻”이라고 말했다.

하 의장은 농촌에 가면 “‘왜 윤석열 퇴진 투쟁을 하지 않느냐’, ‘언제부터 농민이 이렇게 나약했는가’라는 소리를 듣고 있다”면서 농민의 분노가 끝이 없다고 전했다.

퇴진 운동본부(준) 구성 전부터 지역에선 농민을 중심으로 퇴진 운동이 벌어지는 중이다. 양곡관리법 거부권이 행사되기 훨씬 전부터다. 지난 겨울 ‘밥 한 공기 쌀값 300원 보장’, ‘물가인상률에 턱없는 농업예산’, 그리고 ‘일본 방사능 오염수 방류 반대’를 외치며 ‘퇴진’ 목소리를 내기 시작한 것도 농민들이다.

하 의장은 “전농이 지역 농민의 뜻을 이어받아 퇴진 투쟁에 나서겠다. 민중들을 모아내겠다”는 결심을 내비쳤다.

▲ 지난해 11월 제주도청 앞에서 열린 ‘농어민 생존권 사수·일본 방사능 오염수 방류 반대’ 범도민 결의대회 ⓒ한국농정신문
▲ 지난해 11월 제주도청 앞에서 열린 ‘농어민 생존권 사수·일본 방사능 오염수 방류 반대’ 범도민 결의대회 ⓒ한국농정신문

이경민 빈민해방실천연대 공동대표는 “전세사기와 대출, 깡통전세로 많은 국민이 빈민으로 전락하고, 자영업자는 생계 수단을 잃고 거리로 쫓겨났다”면서 “대한민국 도시빈민 2천만 명”이라 강조했다.

이 대표는 윤석열 정부에 의해 구속된 빈민단체 전현직 간부 6인을 언급했다.

“9년 전, 신연희 강남구청장(새누리당)이 30억을 들여 용역깡패를 동원, 노점을 강제철거하려 하자 이에 저항했다는 이유로 구속까지 했다”면서 “‘가난한 사람들은 떡고물만 먹고 살아라’, ‘저항하면 감옥에 보내겠다’게 윤석열 정부 행태”라고 꼬집었다. 그리곤 “도시빈민도 윤석열 퇴진 투쟁에 앞장서겠다. 운동본부를 중심으로 힘차게 투쟁할 것”이라는 결의를 밝혔다.

서울의 노점상 회원들은 이미 자신들의 노점 마차에 ‘후쿠시마 방사성 오염수 투기 반대’ 현수막을 게시하고 방류 반대 서명운동을 받는 등 윤석열 정부 실정을 알리는 활동을 시작했다.

▲ 서울 서부지역 노점상 마차에 후쿠시마 오염수 저지 투쟁 관련 현수막이 걸려있다. ⓒ민주노점상전국연합
▲ 서울 서부지역 노점상 마차에 후쿠시마 오염수 저지 투쟁 관련 현수막이 걸려있다. ⓒ민주노점상전국연합

핵오염수 해양투기 저지 총력 투쟁… 다음 달 15일 1차 범국민대회

운동본부는 이날 대표자회의를 열어 ▲일본 핵 오염수 해양투기 저지 투쟁 ▲노동탄압 저지, 노조법 2·3조 거부권 저지, 민주노총 총파업 연대지지 ▲공안탄압, 집회시위 금지 등 민주주의 파괴책동 저지 ▲굴욕외교 중단, 반전평화 투쟁 ▲친재벌, 사회공공성 파괴 저지 ▲민중생존권 쟁취 등 6개 당면현안 실천과제로 정했다.

우선 핵오염수 해양투기를 반대하는 다양한 단체들과 연대투쟁을 이어가 퇴진 투쟁으로 상승시켜 나가겠다는 계획이다.

이렇게 참가단체를 계속 늘려가는 한편 제단체, 진보정당과의 간담회도 추진한다. 7.15 1차 범국민대회를 앞두고 7월 3일부터 14일까지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각계 릴레이 퇴진선포 기자회견을 연다. 지역에서도 7.15 퇴진투쟁 참가 선언 및 입장발표도 쏟아질 것으로 보인다.

이 결의는 다음 달 15일 서울에서 열리는 ‘윤석열 정권 퇴진 범국민대회’로 모아져 노동자, 농민, 빈민 등 3만여 명 참가로 하반기 총궐기가 선포될 예정이다.

저작권자 © 현장언론 민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