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의당 심상정 후보와 진보당 김재연 후보 등의 진보진영 후보 단일화 여부가 대선판의 새로운 변수로 떠올랐다.
노동당과 변혁당, 그리고 민중경선을 추진하던 한상균 전 민주노총위원장 등도 ‘공동대응기구’를 통해 논의를 이어갈 전망이다.
민주노총의 제안으로 발족한 대선 ‘공동대응기구’는 공동정책, 공동투쟁에 이어 오는 12일 공동후보 전술을 협의한다.
김재연 후보는 7일 가진 기자회견에서 “정의당 심상정 후보와 빠른 시일 내에 만남이 이뤄지기를 희망한다”면서, “정의당과 진보당이 함께 손을 잡고 ‘기득권 보수 양당 체제 타파를 위한 진보단결’을 추진한다면, 진보정치의 분열에 아파하던 수많은 노동자 민중에게 새로운 힘과 기대를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정의당 신언직 사무총장은 “12일 공동대응기구에서 후보단일화 추진 여부를 논의한다”면서, “논의 결과는 기자회견을 통해 발표할 테니 지켜봐 달라”고 전했다.
노동당 차윤석 사무총장은 전화통화에서 “‘사회주의 좌파 대선 후보’ 선출이 오는 29일에야 마무리되고, 한상균 전 위원장의 출마 여부도 변수가 될 수 있다”면서, “오는 11일 전국위원회에서 일단락 짓겠다”고 밝혔다.
사회변혁노동자당 관계자는 “이번주까지 내부 논의를 거쳐 결론을 낼 것이다”라고 했다.
한편 한상균 전 위원장은 오는 9일 성명을 통해 공식 입장을 밝힐 예정이다. 다만 “진보의 파이를 키우는 것이 87년 세대의 숙제”라고 말해, 경선 출마 쪽으로 가닥을 잡은 것으로 보인다.
진보진영 후보단일화가 추진되면 새로운 대안세력의 출현과 기득권 양당 구도에 염증을 느낀 유권자의 표심이 모일 것으로 보인다.
실제 진보진영 후보단일화가 추진될 경우 국민의힘 56만 명을 훌쩍 넘는 선거인단이 모집될 것으로 예상된다.
민주노총 110만 명을 비롯해 노동자, 농민, 빈민, 청년 등이 진보후보 단일화 선거인단에 참여할 경우, 역대 최다였던 더불어민주당의 216만 명을 넘길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