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은 2차대전 이후 37개 국가에서 2천만 명 이상을 죽였다 (3부)

37개 피해 국가들(2부에 이어 계속, 알파벳 순)
[인도네시아]
인도네시아에서는 1956년의 쿠데타로 지도자가 수카르노 장군(General Sukarno)에서 수하르토 장군(General Suharto)로 바뀌었다. 미국이 이 정변에서도 역할을 했다. 인도네시아 주재 미국 대사관의 전직 관리였던 마텐스(Robert Martens)는 미국 외교관들과 CIA 요원들이 어떻게 1965년에 최대 5,000명의 명단을 인도네시아군의 살인부대에 제공하고 그들의 사망이나 체포 여부를 확인했는지 설명한 바 있다. 마텐스는 “나는 내 손에 많은 피를 묻혔는데 그것은 꼭 나쁜 것만은 아니다. 세상에는 세게 치고 나가야 할 결정적인 순간들이 있는 법이다”라고 말했다.(주1,2,3) 사망자 추정 숫자는 50만 명부터 3백만 명에 이른다.(주4,5,6)
1993년부터 1997년까지 미국은 자카르타에 거의 4억 달러에 이르는 경제원조를 제공했으며, 수천만 달러의 무기들을 그 나라에 팔았다. 미국의 특전부대(Green Berets)는 인도네시아의 핵심부대를 훈련시켰는데 그들은 동티모르에서 잔혹행위들을 초래했다.(주7)
[이란]
이란은 1980년부터 1988년까지 이라크에 맞서 싸우는 동안 약 26만 2,000명이 사망했다.(주1) 좀 더 자세한 것은 ‘이라크’ 편을 참조하시라.
1988년 7월 3일 미국 해군함정 빈센스호(Vincennes)는 이란-이라크 전쟁 동안 이라크를 군사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이란 영해 안에서 작전을 하고 있었다. 이란 전투함들과의 전투 중에 빈센스호는 이란 에어버스 항공기를 향해서 두 발의 미사일을 발사했다. 그 비행기는 정규 운항 중인 민간항공기였고, 탑승객 290명은 전원 사망했다.(주2,3)
[이라크]
A. 이란-이라크 전쟁은 1980년부터 1988년까지 지속되었고, 워싱턴포스트에 따르면 그 기간에 약 10만 5,000명의 이라크인 사망자가 발생했다고 한다.(주1,2)
국가안보회의(National Security Council)의 전직 관료 하워드 테이처(Howard Teicher)에 따르면, 미국은 이라크인들에게 수십억 달러를 융자해주었고, 생물학 작용제를 포함한 군사 장비의 확보를 보장하는 등과 같은 다양한 방법으로 이라크를 도왔다고 말했다. 이처럼 지원 규모가 증가한 것은 이란이 전쟁에서 이기는 것처럼 보이고 바스라(Basra, 이라크 제3의 도시이자 거대 무역항-역자)에 근접했을 때 이루어졌다.(주1) 미국은 양국이 전쟁의 결과로 스스로를 약화시키는 것을 괘념치 않았으며 어느 쪽도 승리하지 않기를 원하는 것 같았다.
B : 1990년부터 2003년까지의 미국-이라크 전쟁과 이라크에 대한 제재
이라크는 1990년 8월 2일 쿠웨이트를 침략했는데 미국은 이라크 철수를 요구했으며, 4일 후에는 UN이 국제 제재를 결의하였다.
이라크는 쿠웨이트를 공격하는 데 대해 미국이 반대하지 않을 것이라고 믿었는데, 이는 이라크 주재 미국 대사 글래스피(April Glaspie)가 사담 후세인에게 미국은 이라크와 쿠웨이트 간의 분쟁에 대해 아무런 입장도 없다고 말했기 때문이다. 이렇게 그린 라이트(green light)가 켜졌지만, 이는 함정이었던 것이다.
이라크에 대한 공격을 지원하도록 미국 대중을 자극하기 위한 홍보 전략의 일환으로, 주미 쿠웨이트 대사의 딸이 미 의회에서 이라크 군대가 이라크 병원의 인큐베이터들에서 플러그를 빼버리고 있다고 거짓 증언을 했다.(주1) 이것은 미국에서의 전쟁 분위기를 고조시켰다.
미국의 공습은 1991년 1월 17일에 시작되어 42일 동안 지속되었다. 2월 23일 부시 대통령은 지상 공격을 시작하도록 명령했다. 침공은 이라크군 요원들을 불필요하게 살해하면서 전개되었다. 약 20만 명의 이라크인들이 사망한 데 비해 미군 사망자는 약 150명에 불과했다. 일부 이라크인들은 죽음의 고속도로에서 무자비하게 살해되었고, 약 400톤의 열화 우라늄(depleted uranium)이 그 나라에 떨어졌다.(주2,3) 다른 사망자들은 부상 후유증에 의한 사망, 민간인 사망, 또한 수처리 시설 혹은 기타 사회기반시설의 손상이나 제재로 인한 사망들이었다. 1995년 유엔 식량 농업기구는 이라크에 대한 유엔의 제재 조치로 인해 1990년 이후 56만 명 이상의 어린이들이 사망했다고 보고했다.(주5)
1996년에 ‘60분’(60 Minutes)라는 텔레비전 프로그램에서 레슬리 스탈이 유엔 주재 미국 대사 올브라이트(Madeleine Albright)에게 다음과 같이 물었다. “우리는 50만 명의 어린이들이 사망했다고 들었습니다. 히로시마에서보다 더 많은 아이들이 죽었습니다. 이게 그만한 가치가 있습니까?” 올브라이트는 “이것은 매우 어려운 선택입니다만, 우리는 그럴만한 가치가 있다고 생각합니다”라고 대답했다.(주4)
1999년 유니세프(UNICEF)는 제재와 미국과의 전쟁으로 매달 5,000명의 어린이가 사망했다고 보고했다.(주6)
리차드 가필드는 1990년부터 1998년 3월까지 5세 이하 어린이들 중 초과사망자(excess deaths)가 22만 7,000명 정도일 가능성이 높다고 추론했는데, 이는 그 전 10년에 비해 두 배 수준이다. 가필드는 이 수치가 35만에서 2,000(다른 연구 결과에 근거한) 범위일 것으로 추정했다.(주7)
그러나 그의 연구에는 한계가 있다. 그의 수치는 그 후로도 이어진 3년의 제재 기간에 대해서는 업데이트되지 않았다. 또한, 5세 이상의 어린이와 노인이라는 두 부류의 취약연령 그룹에 대해서는 연구되지 않았다.
이 모든 보고서는 막대한 사망자 수를 나타내고 있는데 이는 미국도 잘 알고 있었고, 심지어는 이라크인들에게 충분한 고통과 테러를 가해서 그들의 정부에 대항하여 반란을 일으키도록 유도하려는 전략의 일환이었다.
C : 이라크-미국 전쟁은 2003년에 시작되었고 아직 종결되지 않았다
냉전의 종식이 1991년 미국의 이라크 공격에 힘을 실어준 것처럼, 2001년 9월 11일의 공격은 미국이 작금의 이라크와의 전쟁을 시작하기 위한 토대를 제공했다. 다른 전쟁들에서는 우리를 속이는 데 사용된 거짓말에 대해 훨씬 나중에 알게 되었지만, 이 전쟁에 참여하기 위해 사용된 속임수 중 일부는 발화되자마자 알려졌다. 대량살상무기는 없었으며, 우리(미국)는 민주주의를 장려하지도 않았으며, 이라크 국민을 독재자로부터 구하려고 하지도 않았다.
존스 홉킨스의 연구원들에 따르면, 현재 우리의 대이라크 전쟁으로 인한 이라크인 총 사망자 수는 65만 4,000명이며 이 중 60만 명은 폭력 행위들에 기인한다고 한다.(주1,2) 이러한 사망은 미국의 침공에 의한 결과이므로, 우리 지도자들은 그들에 대한 책임을 받아들여야 한다.
[이스라엘-팔레스타인 전쟁]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사람 약 10만에서 20만 명(대부분은 후자)이 두 그룹 사이의 싸움으로 사망했다. 미국은 이스라엘의 강력한 지지자로서 수십억 달러를 원조하고 핵무기 보유를 지원해 왔다.(주1,2)
![▲ 2014년 (사)월드피스자유연합과 (사)정의실현국민연대가 공개한 1945년의 상황을 다룬 사진 자료. [사진 : 뉴시스]](/news/photo/202007/10646_21705_3216.png)
[한국, 남북]
트루먼 정부에 따르면, 북한이 6월 25일 남한을 침략하면서 1950년에 한국전쟁이 시작되었다. 그러나 그 이후로 북한의 공격이 양측의 빈번한 국경 습격들이 있던 와중에 일어났다는 또 다른 설명이 나왔다. 1948년부터 시작된 북한과의 국경 충돌의 대부분은 남한 정부로부터 시작되었다. 북한 정부는 남한 정부가 1949년까지 2,617번의 무장 침략을 저질렀다고 주장했다. 소련이 북한에게 한국을 공격하라고 명령했다는 것은 신화였다.(주1,2)
미국은 미국의 개입을 지지하는 유엔의 결의안이 통과되기 전에 공격을 시작했으며, 우리 군대(미군)는 네이팜탄을 사용함으로써 전쟁의 양상을 더욱 악화시켰다.(주1)
전쟁 중 사망자는 대부분 한국인, 북한인, 중국인이었다. 4개의 출처는 사망자 수를 180만에서 450만 사이로 제시하고 있다.(주3,4,5,6) 다른 출처는 총 400만을 제시하는데 그들이 어느 국가에 속하는지는 구별하지 않았다.(주7)
미군 참전 용사이자 평화재향군인회(Veterans for Peace)의 한국위원회 의장인 존 킴(John H. Kim)씨는 한 논문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전쟁 중에 미 육군, 공군, 해군은 남북한을 통틀어 전국 각지에서 약 300만 명의 민간인을 살해하는 데 직접 관여했다. ... 한국 전쟁 중에 미국은 4만 3,000톤의 네이팜탄을 포함하여 약 65만 톤의 폭탄을 떨어뜨린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 합계에는 중국인 사상자는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추정된다.
또 다른 자료는 약 50만 명을 제시하는데 이는 남한 군인들만 집계한 것 같다.(주8,9)
[라오스]
1965년부터 1973년까지 베트남 전쟁 중 미국은 라오스에서 2백만 톤 이상의 폭탄을 투하했다. 이는 2차 대전 중 양측에 의해 투하된 것보다 많은 것이다. 인구의 4분의 1 이상이 난민이 되었다. 이것은 후에 “비밀 전쟁”이라고 불리게 되는데 이는 베트남 전쟁과 같은 시기에 일어났지만 언론의 주목을 거의 받지 못했기 때문이다. 수십만 명이 사망했다. 내가 알고 있는 유일한 추정치는 Branfman의 것인데 그는 수십만 명이 죽었다고 한다. 이것은 적어도 20만 명이 죽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주1,2,3)
라오스에서 미군의 개입은 실제로 훨씬 일찍 시작되었다. 미국이 파셋 라오(Pathet Lao, 라오스의 공산주의 운동 및 조직을 지칭하며 20세기 중반에 형성되었음-위키피디아)에 대항할 4만 명의 라오스 군대를 모집한 1950년대부터 내전은 시작되었다. 좌파 정당 파셋 라오는 1975년 마침내 집권에 성공했다.(베트남 편 참조)
[네팔]
1996년 내전이 발발한 이후 8,000명에서 12,000명 사이의 네팔인이 사망했다. ‘Foreign Policy in Focus’에 따르면, 약 8,400대의 미국 M-16 기관단총(950 rpm)과 미국 고문들이 도착하면서 사망률이 급격히 증가했다. 네팔은 85%가 농촌이며 토지 개혁이 절실하다. 당연히 국민의 42%가 빈곤층 이하로 산다.(주1,2)
2002년에 또 다른 내전이 발발한 후 조지 W. 부시 대통령은 의회를 통해 네팔 정부에 대한 2천만 달러의 군사 원조를 승인하는 법안을 밀어부쳤다.(주3)
[니카라과]
1981년 산디니스타(Sandinistas)는 니카라과의 소모사(Somoza) 정부를 전복시켰다,(주1) 그로부터 1990년까지 약 2만 5,000명의 니카라과인이 소모사 측의 잔존 세력으로부터 시작된 콘트라 반군과 산디니스타 정부 사이의 전투로 인해 사망했다. 콘트라 반군이 암살 매뉴얼을 사용했다는 것은 1984년에 드러났다.(주2,3)
미국은 1981년 11월부터 콘트라 반군(반공 게릴라)에 은밀한 군사 원조를 제공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CIA가 의회의 승인 없이 니카라과에서 사보타지 행동들을 지휘했음을 알게 된 의회가 1983년에 법률 수정(Boland Amendament; 미국의 콘트라 반군 지원을 제한하기 위해 1982~1984년 사이에 이루어진 세 번의 법률 개정-위키피디아)을 통해서 CIA, 국방부 및 기타 정부 기관이 더 이상의 비밀 군사지원을 제공하는 것을 금지했다.(주4)
그러나 이러한 금지를 피할 수 있는 방법이 발견되었다. 법에 의해 명확하게 규정되지 않는 국가안보회의(National Security Council)가 콘트라 반군을 위한 민간과 외국의 자금을 조성했다. 아울러 이란에 무기를 판매한 수익금을 산디니스타 정부를 전복하려는 콘트라 반군에 전달했다.(주5) 마침내 산디니스타는 1990년 투표를 통해 권좌에서 밀려나게 되는데, 이는 유권자들이 리더십의 변화가 미국(콘트라 반군을 지원함으로써 니카라과 시민들의 고통을 초래하고 있는)을 달래줄 것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파키스탄]
1971년 미국의 지원을 받는 권위주의 국가인 서파키스탄은 동파키스탄을 잔인하게 침략했다. 이 전쟁은 약 천만 명의 난민을 받아들인 후 경제가 비틀거리던 인도가 동파키스탄(현재 방글라데시)에 침입하여 서파키스탄 군대를 격파한 이후에 끝났다.(주1)
수백만의 사람들이 그 잔인한 전투 중에 죽었고, 일부 사람들은 이를 서파키스탄이 저지른 대량 학살로 규정했다. 이 나라는 미국의 오랜 동맹국이었는데 그것은 군대를 설립하기 위해 약 4억 달러(411백 만 달러)를 제공하면서부터 시작되었다. 그 전쟁 기간에 1,500만 달러 상당의 무기가 서파키스탄으로 흘러들어갔다.(주2,3,4)
세 곳의 자료에 따르면 300만 명이 사망한 것으로 추정되고(주5,2,6), 다른 하나의 자료는 150만 명으로 추정하고 있다.(주3)
[파나마]
1989년 12월 미군은 한 나라의 대통령인 노리에가(Manuel Noriega)를 체포한다고 공공연히 떠들면서 파나마를 침공하였다. 이것은 미국이 세계의 주인이며 자신이 원하면 누구든 체포할 수 있다는 미국의 시각을 보여주는 하나의 사례다. 노리에가는 그 전에는 수년간 CIA를 위해 일하기도 했지만, 니카라과의 산디니스타를 반대하지 않는다는 점도 하나의 이유가 되어 미국이 더 이상 선호하지 않게 되었다.(주1) 이 침공으로 500명에서 4,000명 사이의 사람들이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주2,3,4)
[파라과이] : 남아메리카, 콘도르 작전 참조
[필리핀]
필리핀은 백 년 넘게 미국의 지배를 받았다. 지난 50년~60년 동안에 미국은 필리핀 국민의 삶을 위해 일하는 단체들의 활동을 억제하려는 필리핀 정부에게 자금을 지원하고 다른 도움도 제공했다. 1969년 미국 의회의 시밍턴위원회(Symington Committee)는 반란군 진압 작전을 위해 어떻게 전쟁물자들이 제공되었는지 밝혀냈다. 일부 전투에서는 미국 특수부대와 해병대가 직접 활동했다. 페르난도 마르코스 대통령에 의해 처형되고 실종된 사람의 수는 10만 명을 넘은 것으로 추정된다.(주1,2)
[남아메리카 : 콘도르 작전]
이것은 6개의 전제적인 남미 정부(아르헨티나, 볼리비아, 브라질, 칠레, 파라과이, 우루과이)가 정치적 반대자들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는 공동작전이었다. 이 계획에 의해 약 13,000명이 사망했다.(주1)
그것은 1975년 11월 25일 칠레에서 ‘군사 정보에 관한 아메리카 연합’(Interamerican Reunion on Military Intelligence)의 행동으로 설립되었다. 미국 대사관의 정무 담당 존 팊턴(John Tipton)에 따르면, CIA가 이 협력을 위한 작전을 직접 수립하지는 않았지만 CIA와 칠레 비밀경찰은 협력하고 있었다고 한다. 보도에 따르면 그것은 1983년에 끝났다.(주2)
2001년 3월 6일, 뉴욕 타임즈는 미국이 콘도르 작전을 위한 논의들을 촉진했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최근 기밀 해제된 국무부 문서의 존재를 보도했다.(주3)
[수단]
1955년 독립을 획득한 수단은 그 후 대부분 기간에 내전을 겪어왔다. 2003년까지 약 2백만 명이 사망했다. 다르푸르(Darfur)의 사망자 수가 포함된 것인지는 알 수 없다.
인권 단체들은 하르툼(Khartoum)의 중앙 정부를 전복하려는 세력을 지원한 미국의 정책이 수단 내전을 연장하는 데 기여했다고 불평했다. 1999년 올브라이트 국무장관은 수단 인민해방군(SPLA)의 지도자와 만났는데, 그는 ‘이집트와 리비아가 후원하는 평화계획을 거부하면 식량을 공급하겠다’고 올브라이트가 제안했다고 밝혔다.
1978년에 수단 석유 매장량의 광대함이 밝혀졌고, 수단은 그 후 2년 안에 미국의 군사 원조를 6번째로 많이 받는 나라가 되었다. 미국이 어떤 정부의 권력 장악을 지원한다면 그 정부가 미국에 석유 자원을 제공할 의무감을 느낄 것이라고 가정하는 것은 합리적이다.
영국의 기독교 원조단체 ‘Christian Aid’는 외국 석유회사들이 시골 인구의 감축에 공모한 책임이 있다고 비난했다. 이런 회사들-미국 기업이 아님-은 정부의 보호를 받고, 대신에 정부가 활주로와 도로를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해준다.
1998년 8월 미국은 75개의 크루즈 미사일로 수단 하르툼을 폭격했다. 우리(미국) 정부는 오사마 빈 라덴이 소유한 화학무기 공장이 목표라고 밝혔다. 실제로는 빈 라덴은 더 이상 소유주가 아니었으며 그 공장은 가난한 이 나라를 위한 유일한 의약품 공급 업체였다. 이 폭격으로 인해 수만 명이 말라리아, 폐결핵 및 기타 질병을 치료할 약이 모자라 사망했을 것이다. 미국은 그 공장 소유주가 제기한 소송을 해결했다.(주1,2)
[우루과이] : 남아메리카, 콘도르 작전 참조
[베트남]
수십 년 전의 합의에 따라 베트남에서는 통일된 남북 베트남을 위한 선거가 예정되어있었다. 미국은 이에 반대하고 남베트남의 디엠 정부를 지지했다. 1964년 8월, CIA와 또 다른 사람들이 통킨만에서 베트남이 미국 선박을 공격한 것처럼 허위로 조작하는 것을 도왔으며, 이는 베트남에 대한 미국의 더 큰 개입을 위한 구실로 사용되었다.(주1)
그 전쟁 동안 피닉스 작전(Operation Phoenix)이라고 불리는 미국의 암살 작전은 남베트남 인민들을 공포에 빠뜨렸으며, 미군은 1968년에는 My Lai라는 마을에서 대량 학살을 저질렀다.
1995년 베트남 정부의 성명에 따르면 베트남 전쟁 중 민간인과 군인의 사망자 수는 510만 명이었다.(주2) 캄보디아와 라오스의 사망자가 약 270만 명(캄보디아와 라오스 편 참조)이므로 베트남 전쟁의 전체 사망자는 780만 명으로 추정된다.
진실위원회(Virtual Truth Commission)는 총 사망자를 500만 명으로 제시하고 있고(주3), 뉴욕 타임즈 메거진(New York Times Magazine)에 따르면 전 국방장관 맥나마라(Robert McNamara)는 베트남전의 사망자 수가 340만 명이라고 밝혔다.(주4,5)
[유고슬라비아]
유고슬라비아는 몇 개 공화국들의 사회주의 연합이었다. 냉전 기간에는 소비에트 연방과 밀접한 관계를 맺지 않았기 때문에 미국으로부터 약간의 지원을 받기도 했다. 소비에트 연방이 해체되자 유고슬라비아의 미국에 대한 효용가치는 끝났으며, 미국과 독일은 ‘분할하고 점령’하는 방식으로 사회주의 경제를 자본주의로 전환시키려고 시도하였다. 유고슬라비아는 민족과 종교의 구성이 다양했는데 미국은 이를 이용, 조장하여 몇 번의 전쟁을 일으켰고 그 결과로 이 나라는 해체되고 말았다.
1990년대 초부터 지금까지 유고슬라비아는 여러 독립 국가로 분할되고 소득수준이 떨어졌고, 이는 CIA의 방조와 함께 이 나라를 자본주의 국가들의 노리개감으로 전락시켰다.(주1) 유고슬라비아의 해체는 기본적으로 미국에 의해 초래된 것이다.(주2)
유고슬라비아 내에서의 전쟁들로 인한 사망자 수에 대한 추정치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전체 전쟁 사망자 10만 7,000명(주3,4), 보스니아(Bosnia)와 크라지나(Krajina)의 사망자 25만 명(주5), 보스니아 사망자 2만~3만 명(주5), 크로아티아(Croatia) 사망자 15,000명(주6), 코소보(Kosovo) 사망자 500~5,000명(주7) 등이다. (끝)
[주석]
Indonesia
1.Virtual Truth Commission http://www.geocities.com/~virtualtruth/.
2.Editorial, Indonesia’s Killers, The Nation, March 30, 1998.
3.Matthew Jardine, Indonesia Unraveling, Non Violent Activist Sept–Oct, 1997 (Amnesty) 2/7/07.
4.Sison, Jose Maria, Reflections on the 1965 Massacre in Indonesia, p. 5.
http://qc.indymedia.org/mail.php?id=5602;
5.Annie Pohlman, Women and the Indonesian Killings of 1965-1966: Gender Variables and Possible Direction for Research, p.4,
http://coombs.anu.edu.au/SpecialProj/ASAA/biennial-conference/2004/Pohlman-A-ASAA.pdf
6.Peter Dale Scott, The United States and the Overthrow of Sukarno, 1965-1967, Pacific Affairs, 58, Summer 1985, pages 239-264.http://www.namebase.org/scott.
7.Mark Zepezauer, The CIA’S Greatest Hits (Monroe, Maine: Common Courage Press, 1994), p.30.
Iran
1.Geoff Simons, Iraq from Sumer to Saddam, 1996, St. Martins Press, NY p. 317.
2.Chronology of American State Terrorism
http://www.intellnet.org/resources/american_terrorism/ChronologyofTerror.html.
3.BBC 1988: US Warship Shoots Down Iranian Airliner
http://news.bbc.co.uk/onthisday/default.stm )
Iraq
Iran-Iraq War
1.Michael Dobbs, U.S. Had Key role in Iraq Buildup, Washington Post December 30, 2002, p A01
http://www.washingtonpost.com/ac2/wp-dyn/A52241-2002Dec29?language=printer
2.Global Security.Org , Iran Iraq War (1980-1980)
globalsecurity.org/military/world/war/iran-iraq.htm.
U.S. Iraq War and Sanctions
1.Ramsey Clark, The Fire This Time (New York, Thunder’s Mouth), 1994, p.31-32
2.Ibid., p. 52-54
3.Ibid., p. 43
4.Anthony Arnove, Iraq Under Siege, (South End Press Cambridge MA 2000). p. 175.
5.Food and Agricultural Organizaiton, The Children are Dying, 1995 World View Forum, Internationa Action Center, International Relief Association, p. 78
6.Anthony Arnove, Iraq Under Siege, South End Press Cambridge MA 2000. p. 61.
7.David Cortright, A Hard Look at Iraq Sanctions December 3, 2001, The Nation.
U.S-Iraq War 2003-?
1.Jonathan Bor 654,000 Deaths Tied to Iraq War Baltimore Sun , October 11,2006
2.News http://www.unknownnews.net/casualties.html
Israeli-Palestinian War
1.Post-1967 Palestinian & Israeli Deaths from Occupation & Violence May 16, 2006 http://globalavoidablemortality.blogspot.com/2006/05/post-1967-palestinian-israeli-deaths.html)
2.Chronology of American State Terrorism
http://www.intellnet.org/resources/american_terrorism/ChronologyofTerror.html
Korea
1.James I. Matray Revisiting Korea: Exposing Myths of the Forgotten War, Korean War Teachers Conference: The Korean War, February 9, 2001
http://www.truman/library.org/Korea/matray1.htm
2.William Blum, Killing Hope (Monroe, Maine: Common Courage Press, 1995), p. 46
3.Kanako Tokuno, Chinese Winter Offensive in Korean War – the Debacle of American Strategy, ICE Case Studies Number 186, May, 2006
http://www.american.edu/ted/ice/chosin.htm.
4.John G. Stroessinger, Why Nations go to War, (New York; St. Martin’s Press), p. 99)
5.Britannica Concise Encyclopedia, as reported in Answers.com
http://www.answers.com/topic/Korean-war
6.Exploring the Environment: Korean Enigma
(www.cet.edu/ete/modules/korea/kwar.html)
7.S. Brian Wilson, Who are the Real Terrorists? Virtual Truth Commisson
http://www.geocities.com/~virtualtruth/
8.Korean War Casualty Statistics www.century china.com/history/krwarcost.html)
9.S. Brian Wilson, Documenting U.S. War Crimes in North Korea (Veterans for Peace Newsletter) Spring, 2002) http://www.veteransforpeace.org/
Laos
1.William Blum Rogue State (Maine, Common Cause Press) p. 136
2.Chronology of American State Terrorism
http://www.intellnet.org/resources/american_terrorism/ChronologyofTerror.html
3.Fred Branfman, War Crimes in Indochina and our Troubled National Soul
www.wagingpeace.org/articles/2004/08/00_branfman_us-warcrimes-indochina.htm).
Nepal
1.Conn Hallinan, Nepal & the Bush Administration: Into Thin Air, February 3, 2004
fpif.org/commentary/2004/0402nepal.html.
2.Human Rights Watch, Nepal’s Civil War: the Conflict Resumes, March 2006 )
http://hrw.org/english/docs/2006/03/28/nepal13078.htm.
3.Wayne Madsen, Possible CIA Hand in the Murder of the Nepal Royal Family, India Independent Media Center, September 25, 2001
http://india.indymedia.org/en/2002/09/2190.shtml.
Nicaragua
1.Virtual Truth Commission
http://www.geocities.com/~virtualtruth/.
2.Timeline Nicaragua
www.stanford.edu/group/arts/nicaragua/discovery_eng/timeline/).
3.Chronology of American State Terrorism,
http://www.intellnet.org/resources/american_terrorism/ChronologyofTerror.html.
4.William Blum, Nicaragua 1981-1990 Destabilization in Slow Motion
www.thirdworldtraveler.com/Blum/Nicaragua_KH.html.
5.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http://en.wikipedia.org/wiki/Iran-Contra_Affair.
Pakistan
1.John G. Stoessinger, Why Nations Go to War, (New York: St. Martin’s Press), 1974 pp 157-172.
2.Asad Ismi, A U.S. – Financed Military Dictatorship, The CCPA Monitor, June 2002, Canadian Centre for Policy Alternatives
http://www.policyaltematives.ca)www.ckln.fm/~asadismi/pakistan.html
3.Mark Zepezauer, Boomerang (Monroe, Maine: Common Courage Press, 2003), p.123, 124.
4.Arjum Niaz ,When America Look the Other Way by,
www.zmag.org/content/print_article.cfm?itemID=2821§ionID=1
5.Leo Kuper, Genocide (Yale University Press, 1981), p. 79.
6.Bangladesh Liberation War ,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http://en.wikipedia.org/wiki/Bangladesh_Liberation_War#USA_and_USSR)
Panama
1.Mark Zepezauer, The CIA’s Greatest Hits, (Odonian Press 1998) p. 83.
2.William Blum, Rogue State (Monroe, Maine: Common Courage Press, 2000), p.154.
3.U.S. Military Charged with Mass Murder, The Winds 9/96,
www.apfn.org/thewinds/archive/war/a102896b.html
4.Mark Zepezauer, CIA’S Greatest Hits (Monroe, Maine: Common Courage Press, 1994), p.83.
Paraguay See South America: Operation Condor
Philippines
1.Romeo T. Capulong, A Century of Crimes Against the Filipino People, Presentation, Public Interest Law Center, World Tribunal for Iraq Trial in New York City on August 25,2004.
http://www.peoplejudgebush.org/files/RomeoCapulong.pdf).
2.Roland B. Simbulan The CIA in Manila – Covert Operations and the CIA’s Hidden Hisotry in the Philippines Equipo Nizkor Information – Derechos, derechos.org/nizkor/filipinas/doc/cia.
South America: Operation Condor
1.John Dinges, Pulling Back the Veil on Condor, The Nation, July 24, 2000.
2.Virtual Truth Commission, Telling the Truth for a Better America
www.geocities.com/~virtualtruth/condor.htm)
3.Operation Condorhttp://en.wikipedia.org/wiki/Operation_Condor#US_involvement).
Sudan
1.Mark Zepezauer, Boomerang, (Monroe, Maine: Common Courage Press, 2003), p. 30, 32,34,36.
2.The Black Commentator, Africa Action The Tale of Two Genocides: The Failed US Response to Rwanda and Darfur, 11 August 2006
http://www.truthout.org/docs_2006/091706X.shtml.
Uruguay See South America: Operation Condor
Vietnam
1.Mark Zepezauer, The CIA’S Greatest Hits (Monroe, Maine:Common Courage Press,1994), p 24
2.Casualties – US vs NVA/VC,
http://www.rjsmith.com/kia_tbl.html.
3.Brian Wilson, Virtual Truth Commission
http://www.geocities.com/~virtualtruth/
4.Fred Branfman, U.S. War Crimes in Indochiona and our Duty to Truth August 26, 2004
www.zmag.org/content/print_article.cfm?itemID=6105§ionID=1
5.David K Shipler, Robert McNamara and the Ghosts of Vietnam
nytimes.com/library/world/asia/081097vietnam-mcnamara.html
Yugoslavia
1.Sara Flounders, Bosnia Tragedy:The Unknown Role of the Pentagon in NATO in the Balkans (New York: International Action Center) p. 47-75
2.James A. Lucas, Media Disinformation on the War in Yugoslavia: The Dayton Peace Accords Revisited, Global Research, September 7, 2005
http://www.globalresearch.ca/index.php?context=
viewArticle&code=LUC20050907&articleId=899
3.Yugoslav Wars in 1990s
http://en.wikipedia.org/wiki/Yugoslav_wars.
4.George Kenney, The Bosnia Calculation: How Many Have Died? Not nearly as many as some would have you think., NY Times Magazine, April 23, 1995
http://www.balkan-archive.org.yu/politics/war_crimes/srebrenica/bosnia_numbers.html)
5.Chronology of American State Terrorism
http://www.intellnet.org/resources/american_terrorism/ChronologyofTerror.html.
6.Croatian War of Independence, Wikipedia
http://en.wikipedia.org/wiki/Croatian_War_of_Independence
7.Human Rights Watch, New Figures on Civilian Deaths in Kosovo War, (February 7, 2000) http://www.hrw.org/press/2000/02/nato207.htm.
번역자 박영태 약력
1963년
경제학.재무관리 공부
코리아국제평화포럼 운영위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