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의 제국주의 일극 패권이 쇠퇴하면서 전쟁과 내전으로 얼룩진 중동에 평화의 기운이 싹트고 있다. 미군의 시리아 철군과 아프가니스탄 평화협상이 진행되는 가운데 러시아가 중동과 북아프리카 지역에서 강력한 조정자로 등장했다.이 연재는 ‘석유자원 탈취와 지역 불안정화’라는 전략목표 아래 ‘민주주의와 인도주의적 개입’을 구실로 자행된 미국의 30년 중동 침략전쟁의 이면을 들여다보고, 조성된 지구촌 정세 속에서 커가는 평화의 희망을 찾아보기 위해 기획되었다.침략과 약탈이 아닌, 호혜와 친선에 기반한 새로운 문명의 전환을 고대하며![필자]1.
지난 연재모음
류경완 KIPF 공동대표
2023.05.13 07:42
-
1969년 27살에 혁명으로 집권한 카다피. 아랍 민족주의와 이슬람 사회주의를 표방, 범아프리카합중국을 꿈꾸며 중동과 북아프리카 최고 부국을 이뤘지만, 2003년 미국의 압력에 굴복해 핵개발을 포기한 뒤 저강도 전쟁과 색깔혁명에 이은 2011년 미·나토의 전격 침공으로 살해된다.42년 카다피의 온실을 벗어난 인구 640만의 리비아는 8년간 7개 정부를 거치며 1,700여 무장그룹이 난립하는 만인대 만인의 싸움터가 되었다. 올해 4월 동부 군벌 칼리파 하프타르의 트리폴리 공격으로 내전 종식의 전기를 맞고 있는 리비아의 어제와 오늘을
지난 연재모음
류경완 KIPF 공동대표
2019.12.16 16:59
-
조지 부시 전쟁의 진실, ‘석유를 위한 피’2016년 12월 미국의 반전평화단체 코드핑크(CodePink)는 ‘이라크전쟁에 관한 민간법정’을 열었다. 이틀에 걸친 증언과 제시된 문서들은 논쟁의 여지가 없는 증거와 문서들이었다. 아프가니스탄과 이라크 전쟁은 탄화수소 자원(석유와 천연가스 등)을 얻기 위해 자행한 주권국에 대한 침략전쟁, ‘석유를 위한 피’였다. ‘테러와의 전쟁’과 무관했고, 조작된 속임수였다.앞서 리처드 베한 교수는 조지 W. 부시 정부의 호전성과 국제 범죄에 분노해 6년간 32편의 글을 발표하고, 이를 종합해 200
지난 연재모음
류경완 KIPF 공동대표
2019.12.06 11:32
-
유노칼과 엔론을 위한 ‘파이프라인’구 소비에트 해체 이후 세계 석유업계의 관심은 16조 달러 규모의 석유와 가스가 매장된 카스피 분지로 쏠렸다. 자원은 아직 탐사와 개발이 이뤄지지 않았고 서구시장으로부터도 멀었다. 아프가니스탄과 파키스탄은 카스피에서 인도양으로 연결되는 최단 파이프라인 경로였다. 파이프라인 건설자가 이 자원을 통제할 수 있기에 경쟁은 치열했다.미 국무부와 국가안보위원회, CIA로부터 전적으로 지원을 받는 미국의 해외석유기업그룹도 이 사업에 뛰어들었다. 그룹은 아모코와 펜조일, 엑손과 유노칼로 구성되었으며 주요 멤버는
지난 연재모음
류경완 KIPF 공동대표
2019.11.28 14:23
-
침략의 첫 설계 - 이스라엘 ‘오데드 이논 계획’중동과 북아프리카에서 일상적으로 벌어지는 전쟁과 내전, 인종학살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이스라엘의 ‘대(大)이스라엘’ 정책인 ‘오데드 이논 계획(Oded Yinon Plan)’을 이해하는 것이 필수적이다.1982년 이스라엘 외무장관의 수석 고문이었던 오데드 이논은 이스라엘의 중동 지역 정복과 지배를 위한 문건을 하나 발표한다. 그 제목은 「1980년대 이스라엘을 위한 전략」이다. 이 문건의 핵심은 이스라엘이 중동과 북아프리카 지역에서 압도적 강자로 군림하기 위해 이 지역에서 이스라엘
지난 연재모음
류경완 KIPF 공동대표
2019.11.21 1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