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총독부, '치안유지법'으로 공산주의 독립운동가 탄압
해방 이후 악질 친일경찰 노덕술에게 검거된 김원봉
초대~21대 대한민국 육군참모총장 모두 일본 육사, 일본군 장교 출신

▲사상검증을 중인 항일 독립운동가(왼쪽부터) 홍범도 장군, 정율성 작곡가, 몽양 여운형, 김원봉 단장.
▲사상검증을 중인 항일 독립운동가(왼쪽부터) 홍범도 장군, 정율성 작곡가, 몽양 여운형, 김원봉 단장.

윤석열 정부가 항일무장투쟁 영웅을 비롯한 독립운동가들에 대한 사상검증을 들이대는 등 이념전쟁을 본격화했다.

일제강점기 청산리 대첩의 주역 홍범도 장군의 흉상을 철거하고, ‘홍범도함’ 명칭 변경 검토를 시작했다. 홍범도 장군이 1927년 공산당에 입당해 소련과 항일무장투쟁을 공조했다는 이유다.

박민식 보훈부 장관은 광주광역시의 ‘정율성 기념공원’ 조성사업을 막는 데 장관직을 걸겠다고 밝혔다. 항일무장투쟁 영웅이자 천재 작곡가인 정율성이 조선인민군 행진곡을 작곡했다는 이유다.

박 장관은 3.1운동 기획자인 몽양 여운형 선생의 훈장 박탈도 시사했다. 대한민국임시정부 군무부장(국방부 장관)을 지낸 김원봉 의혈단 단장은 광복 이후 월북했다는 이유로 독립유공자 서훈 대상에서 제외됐다.

한편 국방부는 홍범도 장군의 흉상을 이전한 자리에 백선엽 예비역 대장의 흉상 건립을 추진 중이다.

앞서 보훈부는 국립현충원 안장기록에서 백선엽의 ‘친일’ 행적을 삭제했다. 백선엽은 21살 때인 1941년 일본 괴뢰군대인 만주군 소위로 임관했고, 1943~45년 항일 무장세력을 ‘토벌’하기 위해 설립된 간도특설대에서 복무한 악질 친일파다.

독립운동가 사상검증은 조선총독부가 하던 짓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는 ‘치안유지법’을 제정(1925.05.13)해 독립운동가들을 잡아들였다.

치안유지법 제1조는 “국체 변혁 또는 사유재산제도 부인을 목적으로 결사를 조직하거나 가입한 자는 10년 이하의 징역에 처함.”이다. 여기서 ‘사유재산제도를 부인한 조직’은 공산‧사회주의 조직을 일컫는다.

1917년 러시아 혁명의 영향으로 공산주의운동은 아시아 전역으로 퍼졌다. 사할린과 만주 일대에서 활동하던 독립운동가 대부분이 레닌의 반제 공산주의운동에 도움을 받았다. 홍범도 장군도 이때 소련 공산당에 입당했다.

조선총독부는 당시 독립운동가의 상당수가 공산주의자였다는 점을 이용해 ‘치안유지법’을 적용하여 독립운동을 탄압했다. 독립운동이 주로 비밀 결사 조직을 통해 이루어졌기 때문에 공산주의자 색출이 곧 독립운동조직 검거로 이어졌다.

일제는 치안유지법 실시를 위해 사상탄압을 전문으로 하는 고등계 경찰과 사상검사를 배치했다. 이때 독립운동가를 공산주의자로 몰아 체포하고 고문을 가한 악질 순사가 바로 노덕술 같은 자들이다.

광복 이후 계속된 사상검증

광복 이후 상황도 크게 다르지 않았다. 미군정의 명령에 따라 38선 이남의 친일파는 그대로 관직을 유지했다. 이후 이승만 정부가 수립됐지만, 친일 반민족 행위자 척결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대신 이승만 정부는 치안유지법을 계승해 국가보안법을 제정했다.(1948.12.01.) 1949년 한 해 동안만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11만4천여 명을 구속했다. 구속된 이의 대다수가 독립운동가였다.

이 중에는 해방 직후 조국으로 돌아온 약산 김원봉도 있었다.

친일경찰 노덕술에게 체포된 김원봉은 “조국 해방을 위해 일본 놈과 싸울 때도 이런 수모를 당한 일이 없는데 해방된 조국에서 악질 친일파 경찰 손에 의해 수갑을 차다니 이럴 수가 있냐”며 사흘 밤낮을 통곡했다. 이 사건 이후 김원봉은 월북했다.

대한민국임시정부 군무부장이던 김원봉이 월북한 이후 이승만 정부는 육군참모총장 8명 모두 일본 육사 출신이자 일제강점기 일본군 장교를 지낸 인물로 채웠다.

이들 중에는 일제강점기 만주에서 독립군에 총을 겨눈 일본 괴뢰군 장교 출신 백선엽도 있다.

이처럼 윤석열 정부가 최근 공산주의 운운하며 독립운동가를 폄훼하고 일본 괴뢰군 장교 백선엽을 추앙하는 행태는 조선총독부가 하던 짓이며, 해방 이후 친일 경찰을 앞세워 독립운동가를 구속시킨 이승만 정부의 만행을 답습한 것이다.

 

저작권자 © 현장언론 민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