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오염수 해양투기 동조, 한미일 동맹의 첫 대가
노량진 수산시장 50군데 지점 반납...수산시장 직격타

후쿠시마 핵오염수 방류 개시가 단 하루를 남겨놓은 가운데, 핵오염수 해양투기 저지를 위한 시민들의 비상행동이 시작됐다. 오염수 방류 저지와 더불어 일본에 대한 국제해양법재판소 제소를 호소하는 구호가 울려 퍼졌다.

23일 오후, 민주노총, 윤석열정권퇴진운동본부(준), 전국비상시국회의(추), 서울시국회의(추) 등 시민단체들은 기자회견을 열고 72시간 비상행동 돌입을 선언했다. 이들 단체들은 25일까지 용산 대통령 집무실 앞에서 대통령 면담을 촉구하는 릴레이 항의농성을 이어가며 집회와 촛불문화제 등을 연다.

72시간 비상행동의 기세는 26일 대규모 범국민 항의촛불로 모아질 예정이다.

▲23일 오후 2시 30분, 용산대통령실 앞(전쟁기념관)에서 열린 '후쿠시마 핵오염수 해양투기 저지! 일본을 국제해양법재판소에 제소하라!' 기자회견에서 참가자들이 피켓을 들고 있다.
▲23일 오후 2시 30분, 용산대통령실 앞(전쟁기념관)에서 열린 '후쿠시마 핵오염수 해양투기 저지! 일본을 국제해양법재판소에 제소하라!' 기자회견에서 참가자들이 피켓을 들고 있다.

핵오염수 해양투기 동조, 한미일 동맹의 첫 대가

참가자들은 “미일한 동맹의 첫 대가는 핵오염수 해양투기이고, 향후 더 혹독한 대가들이 따라올 것”이라며, “국민 건강과 안전, 주권과 평화를 내다버리는 윤 정권을 결코 용납할 수 없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윤석열 대통령을 향해 “지금이라도 국민 목소리에 귀 기울여 해양투기를 막기 위한 모든 노력을 다할 것”을 촉구했다.

이연희 겨레하나 사무총장은 정부가 한미일 정상회담을 위해 오염수 투기를 방임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한미일 동맹으로 평화를 얻겠다는 것은 착각”이라며 “강제동원과 위안부 문제를 내팽개쳐둔 채 한반도 평화는 불가능하다”고 일갈했다.

일본 정부를 향한 규탄도 제기되었다. 이 사무총장은 “일본 시민들이 국격과 위험성을 고려하여 방류 반대의견으로 돌아서고 있음에도, 일본 정부는 이를 무시한 채 환경범죄국으로 거듭나려 한다”고 비판했다.

▲이부영 전국비상시국회의 대표가 발언하고 있다.
▲이부영 전국비상시국회의 대표가 발언하고 있다.

이부영 전국비상시국회의 대표 역시 “핵폐기수 방류는 세계 경제와 지구 환경에 가하는 결정타”라며 “원폭 피해로 인해 어떤 국가보다 핵 위험성을 잘 알며 핵을 증오하는 일본이 핵폐기수를 태평양에 버린다는 것은 무슨 경우냐”고 꼬집었다.

그는 “일본 정부는 내일 오염수를 방류하며 ‘한국 정부가 양해했다’고 말할 것이 틀림없다”고 내다보곤, “아직도 윤석열을 한국 대통령으로 인정할 수 있겠냐”고 분개했다.

▲윤헌주 민주노련 노량진수산시장 공동지역장이 발언하고 있다.
▲윤헌주 민주노련 노량진수산시장 공동지역장이 발언하고 있다.

노량진 수산시장 50군데 지점 반납...수산시장 직격타

당장 오염수 방류 예고로 직격타를 맞은 수산시장의 현황도 도마에 올랐다.

민주노점상전국연합 윤헌주 노량진수산시장 공동지역장은 “어제부로 노량진 수산시장 680개 코너 중 50군데가 반납되었다”며 “방류 이후 몇 개월도 지나지 않아 100군데 이상이 장사를 접게 될 것”이라 전했다.

윤 공동지역장은 “각 시 단위에서 수산물에 대한 방사능 측정을 한다지만, 그 규모는 1만 개 물건 중 몇 개에 한정되기에 누구도 안심시킬 수 없다”고 규탄했다.

엄미경 민주노총 사회연대위원장은 민주노총이 이미 핵오염수 투기 반대를 내걸고 총파업에 나섰던 점을 상기시킨 후, “해양재판소 제소를 요구하는 시민들의 절규도 윤 대통령에게 들리지 않을 것”이라 힐난했다.

그는 “72시간 비상행동의 기세를 26일의 대규모 범국민대회까지 이어가겠다”고 밝히며, “결국 국민은 노동자가 앞장선 정권 퇴진의 길을 선택하게 될 것”이라 경고했다.

회견 이후 참가자들은 자리를 지키며 대통령 면담을 요구하는 릴레이 농성을 시작했다. 각계 시민사회단체들의 공조하에 25일까지 농성은 중단없이 이어질 예정이다.

▲72시간 비상행동에 돌입하여 대통령실 앞 릴레이 농성을 시작한 시민들.
▲72시간 비상행동에 돌입하여 대통령실 앞 릴레이 농성을 시작한 시민들.

 

저작권자 © 현장언론 민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