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외노조 판결 이후 꾸준히 증가세… 올해 들어 4월말 현재 600명 신규 가입

고등법원이 지난 1월 전국교직원노동조합(위원장 변성호. 전교조)에 대해 법외노조 판결을 내린 이후 전교조에 신규 가입한 교사가 600여 명에 이르는 것을 나타났다.

민플러스가 최근 전교조의 조합원 현황을 취재한 결과, 지난 1월 전교조가 고용노동부를 상대로 제기한 법외노조 통보처분 취소소송 항소심에서 패한 뒤인 지난 3월 350여명, 그리고 4월에는 250여명이 노조에 신규 가입한 것으로 확인됐다.

3월 교육부가 전교조 전임자들에게 현업 복귀 명령을 내린 데 대해 35명이 거부 의사를 천명한 가운데 6명이 해고통지를 받았다. 1989년 5월28일 ‘참교육의 함성으로’ 출범한 전교조가 27년 만에 최대 위기를 맞는 듯했다. 그러나 정권의 탄압이 지속되고 있는 데도 기존 조합원들의 탈퇴도 소수에 그칠 뿐더러 신규 가입자가 잇따르고 있는 것이다.

서울 ㄷ고등학교 A교사는 지난 1월 “합법 노조가 되면 다시 탈퇴하는 일이 있어도 지금은 전교조에 가입한다”고 가입 동기를 밝혔다. “전교조의 활동을 모두 지지하지는 않지만, 부당하게 탄압받는 전교조를 외면하지 않겠다”는 여론이 교사 사회 내에 형성된 결과로 전교조 관계자들은 보고 있다.

전교조의 조합원 증가는 지난해부터 나타났다. 박근혜 정부의 공적연금 개악에 반대하는 연차휴가 투쟁을 벌이던 지난해 4~5월 노조 가입률이 오르기 시작한 것. 교과서 국정화 반대와 4.16세월호 수업을 하던 지난해 11월 현재 1400여명이 신규 가입했다.

이로써 지난 2014년 전교조에 대한 첫 법외노조 판결이 나온 이후 2015년과 2016년 4월 말 현재 총 신규 조합원수가 2000명을 넘었다. 그리고 지난해의 경우 정년퇴직자를 포함한 조합 탈퇴자수를 뺀 실조합원 증가수는 600명을 넘긴 것으로 집계됐다. 전교조의 현 조합원수는 5만3600명에 이른다.

2007년 이후 조합원수가 감소세를 보였던 전교조로선 예상치 못한 교사 사회의 반응이었다. 전교조의 한 간부는 “큰 싸움을 원칙적으로 했을 때, 참교육이 실현되고 전교조가 지지 받는다는 교훈을 얻었다”고 전했다.

교사 사회에선 “박근혜 대통령이 전교조 조직부장”이란 우스개가 유행 중이라고 한다. 정권 차원의 노조 탄압에 맞서 교사들이 전교조를 중심으로 참교육 지키기에 가세하고 있는 것이다. 전교조 차원의 조합원 확대운동도 한창이다.

전교조 전북지부는 법외노조 판결이 내려지고 3월 개학과 동시에 학교 현장 방문을 시작했다. 그결과 3~4월 두 달 동안 신규 조합원 150여명이 가입했다. 이 가운데 120여명이 2~30대 젊은 교사들이다. 강경표 전북지부 사무처장은 “전교조는 유일하게 저항하고 있는 조직이다. 전교조가 공과(功過)는 있지만 교육현장에서 전교조의 역할을 인정한다”는 신입 조합원의 소감을 전하며, “법외노조 판결로 위축되고, 경계할 것이라는 예상은 완전히 빗나갔다”고 말했다.

경남지부는 ‘법외노조 탄압 중단 촉구 5.28교사대회’에 경남지역 교사 1000명 참가를 목표로 ‘현장대장정’을 시작했다. 지난달 26일부터 도내 850여개의 학교를 방문한다. 하루 평균 20개 학교를 방문하고 있으며, 조합원이 1명 있는 ‘섬 학교’와 ‘오지 분교’에도 발길을 이어가고 있다.

대전지부에는 전임자들의 복귀 명령 이후 부족한 일손을 돕기 위해 퇴직 교사들이 힘을 보태고 나섰다. 3월부터 매주 월요일 당번을 자청한 권성환씨(정년퇴직 교사)는 “나는 전교조 창립 조합원이다. 30년 가까운 교육민주화운동을 박근혜 정부에 의해 부정당했다”며 “법외노조 판결 이후 전임자가 줄었다. 퇴직 교사로서 도울 일을 찾다가 출근을 결심하게 됐다. 이주부터는 네 분의 퇴직교사들이 더 함께한다. 이제는 화~금요일 당번이 생겼다”고 전했다.

▲ 전교조 전북지부 윤성호지부장이 학교를 방문하여 교사들과 간담회를 하고 있다.
▲ 매주 월요일 퇴직교사 전성환씨는 전교조 대전지부를 찾아 일손을 돕고 있다
저작권자 © 현장언론 민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