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대 양당 후보들은 당내 공천 경쟁에 뛰어들었다. 치열한 이전투구가 펼쳐진다.

그들은 관록을 내세우고, 누구의 '복심’을 강조하기 바쁘다. 그런데 농촌 지역구인 충남 예산‧홍성에서 정작 농심(農心)을 대변하겠다는 후보는 찾아보기 힘들다.

지역 대표성을 따진다면 예산‧홍성에는 실제 농사 짓는 농민 후보가 출마해야 마땅하다. 

농민 국회의원 한 명 없는 국회에 새로운 농민 의원이 등장할 수 있을까?

▲ 왼쪽부터 강승규(국민의힘), 김영호(진보당) 예비후보, 홍문표 국민의힘 의원.
▲ 왼쪽부터 강승규(국민의힘), 김영호(진보당) 예비후보, 홍문표 국민의힘 의원.

농민후보 등장한 예산‧홍성

홍성 ‘마늘’, 예산 ‘사과’라는 말이 자연스러우리만큼 충남의 대표 농촌지역인 이곳에, 농민 출신 국회의원은 없었다.

예산‧홍성은 17대 국회부터 보수 강세 지역으로, 현 의원은 홍문표 국민의힘 의원이다. 홍 의원은 4선 의원이면서, 5선을 노리고 있다. 여기에 같은 당 용산 출신 후보가 등장했다. 강승규 전 대통령실 시민사회수석이 '윤심(윤석열 복심)'을 내세우며 예비후보 등록을 마쳤다.

이와 대비되는 인물은, 진보당 김영호 후보다.

홍문표 의원은 한국농어촌공사 사장을 지내긴 했지만, 농사를 지어본 적 없는 기성 정치인이다. 강 후보는 언론인 활동 후 정치판에 뛰어들었다. 하지만 김영호 후보는 전국농민회총연맹(전농) 의장을 지낸 진짜배기 농민이다.

예산군 농민으로, 농민 대표조직인 전농에서 연거푸 의장을 지낸 김 후보는 며칠전 전농 대의원대회에서 전농 조직후보로 추대되었다.

현역 의원 컷오프  vs 용산 출신 후보 ‘시계’ 의혹

국민의힘 후보 사이엔 벌써 난타전이 시작된 분위기다.

용산 대통령실 시민사회수석 출신인 강승규(국민의힘) 후보가 시민사회수석 시절 지역구 주민들에게 윤석열 대통령의 이름이 새겨진 기념 시계를 제공한 사실이 뒤늦게 알려지면서 구설에 올랐다.

‘시계를 받았다’는 주민 제보가 이어지자, 충남 홍성선거관리위원회는 시계 의혹과 관련해 조사에 착수했다고 31일 밝혔다.

강승규 선거캠프 관계자는 “업무수행의 일부분”이라 주장하고 있고, 당내 공천 경쟁을 해야 하는 홍문표 의원은 한 라디오 프로그램에 출연해 “1960~1970년대 막걸리, 고무신 선거”를 빗대어 “좁은 예산·홍성 바닥에 대통령 깃발이 결혼식장, 출판기념회, 개인 개업 집에 나타나고 있다”면서 “대통령 시계 유포 신고도 25건 정도 들어왔다”고 말했다.

공직선거법 85조에 따르면 공직자는 선거에 영향을 미치는 행위를 할 수 없다. 또한 총선 예비후보가 선거구민에게 대통령 시계를 제공했다면 후보자 등의 기부행위를 제한한 선거법 113조에 위배될 수 있다.

국민의힘 공천 심사를 통과해야 하는 현역 홍문표 의원도 난망하다.

국민의힘 현역 의원 권역별 평가 기준과 중진의원(3선 이상) 추가 페널티(감산) 기준이 적용되는 위치에 있어 컷오프(공천배제)에 해당할 수도 있다. 홍 의원은 천안아산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으로부터 ‘국회 본회의 결석률 상위 5위(출석률 17%)’를 지적당하며 검증을 촉구받고 있기도 하다.

단 한 명의 ‘농민 국회의원 ’ 없는 국회

국민의힘 후보가 내부에서 충돌하는 사이, 김영호 진보당 후보는 일찌감치 전농과 진보당의 힘이 모이고 있다.

김 후보의 전농 조직후보 추대에 앞서, 농민 후보를 배출한 전농 충남도연맹은 지난해 11월 대의원대회에서 “1,000포 나락 모으기를 통해 김영호 조직후보를 당선시키겠다”고 밝혔다. “농업파괴 윤석열 정권 퇴진과 1,000명 충남 농민당원 가입” 결의도 모았다.

김영호 후보는 평범한 농민 신분으로도 ‘농민수당’과 ‘농자재 지원 조례’ 제정을 위한 청구인대표로 활동해 왔다. ▲밥쌀용 쌀 수입 중단 ▲식량주권과 먹거리 안전 ▲농업 개혁 ▲농정 개혁 ▲농민헌법 쟁취 등이 그가 벌인 활동이다.

국회의원 비례대표제의 경우, 직능·세대 등 다양한 계층과 환경 안에 사는 사람들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지역을 떠나 국가 전체의 문제나 직능(노동자·농민 등), 세대(청년) 등 사회구성원 다수에 해당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현재 비례대표제의 기준은 여성 50% 할당제(홀수번호 여성 공천) 외엔 없다.

21대 국회만 보더라도 단 한 명의 농민 국회의원이 없었다. 각 당의 ‘인재영입’ 경쟁에도 농민이 거론되진 않는다.

농가당 한 해 농업소득 948만 원, 농민소득은 20년 만에 최저치...
어두워만 가는 농업의 미래에 농업·농촌·농민을 살리는 국가차원의 농정대개혁안이 필요한 시기. 농촌 지역구에서 농민 국회의원의 탄생을 기대할 수 있을까.

김영호 후보는 “농업 파괴 윤석열 정권과 공존할 수 없다”면서 출마 선언에서 “생산비를 보장받는 양곡관리법 개정안 통과, 농자재 지원법 제정, 농민기본법 제정을 실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현장언론 민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