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쿄전력 또 거짓말, 작업자 피폭량 축소
방사능 측정 보고서, 조작 정황 발견
0.8mSv 차이로 소아암 발병 차이 보여
"IAEA가 말하는 국제 기준 애초에 없어"

15일 국회에서 열린 일본 방사성 오염수 해양투기와 국민 안전 토론회 ⓒ 전국민중행동
15일 국회에서 열린 일본 방사성 오염수 해양투기와 국민 안전 토론회 ⓒ 전국민중행동

유엔 인권 이사회는 여전히 한국이 국제해양재판소에 왜 제소하지 않는지 의아해하고 있다. 일본이 3차 방류를 진행 중인 가운데, 전문가들이 여전히 풀리지 않은 의문점을 지적했다. 15일 국회에서는 일본 방사성 오염수 해양투기와 국민 안전 토론회가 개최됐다.

지난달 25일에는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청소 작업자 5명이 작업 중 방사성 액체를 뒤집어쓰는 사고가 발생하기도 했다. 알프스(다핵종제거설비)는 전처리 시설과 후처리시설로 나뉘어 있다. 이 둘을 잇고 있던 호스에서 세정수가 뿜어져 나왔다. 

도쿄전력은 100㎖ 정도라고 밝혔지만, 일본 NHK가 분출된 액체가 알려진 것보다 수십 배 더 많다고 보도했고, 추긍 끝에 도쿄전력은 이를 시인했다. 2011년 노심용융(멜트다운)을 부인한 것과 2019년 “알프스 처리 이후 삼중수소만 남는다”는 거짓말에 이어 또 말을 바꾼 거다.

이에 대해 한국 원자력안전위원회(원안위)는 “향후 호스를 제대로 결박하는 등 대책을 마련 중”이라고 입장을 밝혔다. 이정윤 원자력안전과미래 대표는 “원안위가 안이한 대처 방법을 이야기한다”고 꼬집으며, “스틸 같은 단단한 재질로 바꿔서 단단히 시공을 해야할 일”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원안위가 이같은 주장을 일본에 제대로 말하지 못하는 것 같다”고도 질책했다.

15일 국회에서 열린 일본 방사성 오염수 해양투기와 국민 안전 토론회 ⓒ 김준 기자
15일 국회에서 열린 일본 방사성 오염수 해양투기와 국민 안전 토론회 ⓒ 김준 기자

이 대표는 일본 시의원에게 받은 문서를 공개했다. 일본 항구 앞바다 해산물의 방사능을 측정한 보고서에 연필로 지운 흔적이 있는 문서로, 원래 명시됐던 숫자가 24베크렐, 8.5베크렐로 수정돼 있었다. 이 대표는 “4월 민주당 의원들과 후쿠시마에 방문했을 때, 후쿠시마 옆 소도시의 시의원이 자신에게 준 것”이라며 당시 그 시의원도 일본 데이터를 믿을 수 없다고 말 한 것을 전했다.

일본과 정부는 연일 낮은 수준의 저선량 방사선은 인체에 무해하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백도명 서울대 보건대학원 교수는 “저선량 방사선 노출과 악성종양과의 인과성은 이미 검증됐다”고 주장했다. 

백 교수가 소개한 2023년 예방의학과 논문에는 ‘최근 역학 연구를 종합하면 저선량 방사선 노출은 암 위험도를 유의하게 선형적으로 증가시킨다’고 설명했다. 또한, ‘기존 일본원폭생존자 연구 결과와 대체로 일관적’이라고도 명시했다.

또, 스위스 지역에 따른 소아암 발생률도 소개했다. 스위스는 산악지형이기 때문에 거주하는 지역의 높이에 따라 미약하게 우주선 방사능에 노출되는 양도 다르다는 거다. 이에 따른 소아암 발생률도 주목됐다. 

백 교수는 조사결과 0.8mSv(미리시버트) 차이로 소아암의 발병률이 달라졌다고 설명했다. 앞서 알프스를 청소했던 노동자가 피폭된 양은 5mSv였다.(도쿄전력 측 주장) 백 교수는 이어 “암보다 백혈병이, 성인보다 아동이, 아동보다 태아가 방사능에 영향을 더 많이 받게 된다”고 강조했다. 

IAEA와 일본이 주장하는 ‘국제기준’이 무엇이냐는 지적도 있었다. 백 교수는 “리터당 삼중수소 배출 허용치가 미국은 37000, 일본 60000, 한국 40000베크렐” 이라며 “애초 원전을 가지고 있는 국가들이 각자 농도 기준을 정하도록 했으며 원전을 갖지 않은 국가들은 배출 기준 논의에 참여도 안했다”고 주장했다.

이에 “기존 및 향후 배출량에 대한 국제적으로 합의된 기준이 없다”며 그 필요성을 시사했다.

15일 국회에서 열린 일본 방사성 오염수 해양투기와 국민 안전 토론회 ⓒ 김준 기자
15일 국회에서 열린 일본 방사성 오염수 해양투기와 국민 안전 토론회 ⓒ 김준 기자
저작권자 © 현장언론 민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