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직자윤리법 위반
언론윤리 위반
근로기준법 위반

▲권인숙 국회 여성가족위원장이 6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김행 여성가족부 장관 인사청문회에서 회의진행 순서를 살펴보며 발언을 하고 있다. 김행 후보자는 지난밤 인사청문회 도중 여당 의원들과 함께 퇴장했다. ©뉴시스
▲권인숙 국회 여성가족위원장이 6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김행 여성가족부 장관 인사청문회에서 회의진행 순서를 살펴보며 발언을 하고 있다. 김행 후보자는 지난밤 인사청문회 도중 여당 의원들과 함께 퇴장했다. ©뉴시스

5일 저녁, 김행 여성가족부 장관후보자가 인사청문회 도중 도망치면서 청문회는 파행에 이르렀다. 인사청문회에서 후보자가 도망친 사례는 헌정사상 최초다.

야당 의원들은 청문회 재개를 위해 새벽 1시까지 기다렸으나, 김 후보자는 돌아오지 않았다. 이에 시민들은 ‘김행방불명’, ‘36계 김행랑’, ‘드라마틱하게 엑시트(극적 퇴장)’라고 야유했고, 야당은 후보 자진 사퇴를 촉구했다.

6일 오전 재개된 청문회에서도 김 후보자와 여당 의원들은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다. 청문회를 주관하는 여성가족위원회는 오늘 자정까지 김 후보자의 출석을 기다릴 예정이다.

장관 인선이 파국으로 치닫는 가운데, 김행 후보자의 부적격 사유 3가지를 톺아본다.

▲김행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5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 참석해 의원들의 질의에 답하고 있다. ©뉴시스
▲김행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5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 참석해 의원들의 질의에 답하고 있다. ©뉴시스

공직자윤리법 위반

김 후보자는 2013년 자신이 공동 창업한 위키트리의 운영사인 소셜뉴스 주식을 시누이에게 매각했다가 되사들여 백지신탁을 회피했다.

당시 김 후보자는 박근혜 정부의 청와대 대변인으로 임명되었기에, 공직자윤리법에 따라 본인의 재산 형성과 관련이 없는 제3자나 금융기관에 주식을 맡겼어야 했다(백지신탁). 그러나 김 후보자는 자신과 가족의 소셜뉴스 주식 보유분을 시누이와 배우자의 친구에게 매각했다가 2018년에 재매입했던 것.

보유 주식을 친지와 측근에게 맡겼다는 것은, 김 후보자가 대변인 재임기간 고위 공직자로서 얻은 여러 정보들로 주식을 통한 자산 증식에 관여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이는 공직자윤리법 위반이다.

언론윤리 위반

김 후보자가 경영진으로 재직 중인 웹 언론사 위키트리의 언론윤리 위반도 문제다. 2019년 김 후보자는 위키트리의 부회장으로서 기자 개인당 목표 트래픽을 부과하고 “목표량 달성 방법은 농밀해야 한다”며 기사의 선정성을 부추겼다.

이에 따라 위키트리에서는 “수갑 채우는 경찰 하반신에 엉덩이 비비며 신음하는 여성 (영상)”, “콘돔 끼워주고...OO 성매매 정황, 적나라하게 드러났다”, “신성한 지하철 안에서...낯 뜨거운 제목으로 올라온 일본 지하철 영상”, “소속사가 女연습생에게 “속바지 벗고 사진 보내라 ㅋㅋ”” 등 성적 대상화와 더불어 자극적인 묘사로 일관한 기사를 쏟아냈다.

그 중 상당수는 언론중재위로부터 시정권고를 받을 정도였다. 그러나 한국기자협회와 한국인터넷신문협회의 언론윤리헌장은 “사람을 성적으로 대상화하는 표현을 삼간다”고 적시하고 있으며, 인권보도준칙은 “성을 상품화하는 보도를 하지 않는다”고 표명하고 있다.

달리 말해 김 후보자는 위키트리의 언론윤리 위반을 앞장서 지도한 책임을 진다.

근로기준법 위반

2018년 하반기 김 후보자가 위키트리 경영진으로 복귀한 이후 대대적인 임금체불이 이뤄진 것 또한 결격사유다.

2018년 위키트리 운영사 소셜뉴스는 직원들에게 임금과 연차 수당 수백만 원을 지급하지 않아 고용노동부의 개입을 받았다.

그러나 같은 시기, 김 후보자는 위키트리의 부회장으로서 해외연수를 다니며 연봉 7,500만 원을 수령했다.

임금체불은 거기서 그치지 않았다. 2022년 한 해만 해도 소셜뉴스의 임금체불 당사자는 23명으로, 마찬가지로 야간근로 수당, 연차 미사용 수당 등 수백만 원을 미지급한 혐의 사실이 입증되었다.

더불어 소셜뉴스는 임금명세서 필수 기재 사항도 작성하지 않았으며, 직장 내 성희롱 예방 교육 또한 실시하지 않았다. 이는 근로기준법 위반이다.

이 외에도 ‘강간당해도 낙태 없이 낳는 문화가 필요하다’고 강변하거나, 가상화폐 수익 의혹 등 김 후보자의 장관 부적격 요인은 차고 넘친다.

장관 인선의 한계가 명백한 가운데, 과연 청문회 도주라는 초유의 사태 앞에서도 윤석열 대통령이 임명을 강행할지 관심이 쏠린다.

저작권자 © 현장언론 민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