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정권에 "굴종적인 사회주의자"
'오염수는 괴담, 의원 축소는 여론?'
김남국 의원, "무단 결근, 사실 아냐"
건폭 발언에 발끈한 강성희 의원

김기현 국민의힘 대표가 2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본회의장에서 열린 제407회국회(임시회) 5차 본회의에서 교섭단체 대표연설을 하고 있다. ⓒ 뉴시스
김기현 국민의힘 대표가 2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본회의장에서 열린 제407회국회(임시회) 5차 본회의에서 교섭단체 대표연설을 하고 있다. ⓒ 뉴시스

김기현 국민의힘 대표가 국회의원 정수 10% 감축과 불체포특권 포기 서약, 정치 쇄신을 위한 3대 과제 방안을 야당에 제시했다. 하지만 도를 넘은 야당 비방 수위로 볼 때 실효성에 의문이 남는다.

19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교섭단체 대표 연설 이후 20일에는 김기현 국민의힘 대표의 발언이 이어졌다. 두 대표는 지난달 여야 회동 가능성을 언급했지만, 발언대에 선 이들은 또다시 서로에게 협치와는 거리가 먼 비방을 가했다.

김 대표는 “우리 사회의 수많은 아픔과 절규에 대한 해결책을 찾기보다 권력다툼에 빠져있던 것 아닌가”하는 생각이 들었다며 “부끄러운 정치를 고치기 위해 국민의힘이 먼저 성찰하겠다”고 운을 뗐다.

하지만 김 대표는 곧바로 야당을 향한 비방을 쏟아냈다. 김 대표는 어제 이 대표의 연설을 “장황한 괴변”이라고 표현하며 “돈 봉투 비리, 남 탓 전문 정당”이라고 비꼬았다. 이어 문재인 정권 시기를 “세금 폭탄, 흥청망청 나라 망친 정권”이라고 말하며 “굴종적인 사회주의자”라는 다소 수위 높은 발언을 쏟아냈다. 현장에서는 야당 의원의 고함과 여당 의원의 박수가 나왔다.

또한, 김 대표의 건폭(건설폭력) 발언에 강성희 진보당 의원이 고함을 지르기도 했다. 김 대표는 “거대 노조의 정치 투쟁, 불법 파업 결과로 힘없는 진짜 노동자와 국민만 손해봤다. 하지만 윤 정부 들어 건폭이 줄어 건설현장이 움직인다”고 말하자, 강성희 의원은 “사람이 죽었는데 건폭이 무슨 말이냐”며 “건폭 이야기할 자격이 있냐”고 소리 높여 비판했다.

김 대표는 거대노조 때문에 비정규직 노동자 실업자 구직자가 철저하게 외면당했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현장의 비정규직 노동자가 요구하고 있는 ‘노조법 2·3조 개정(노란봉투법)’을 반대하고 있는 건 국민의힘이다. 노조법 2·3조 개정이 야당에 의해 본회의 강행처리 되더라도 윤석열 대통령이 거부권을 행사할 것이 유력하다. 여당이 비정규직 노동자를 위해 내놓은 정책이 무엇인지 의문이 남는 대목이다.

김 대표는 국회의원 10% 감축에 나서자고 제안했다. “국회의원 숫자가 많다 적다 논쟁이 있지만, 정답은 국민”이라며 “주권자인 국민이 많다고 하는 것이라면 다 이유가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서도 지적이 생긴다. 

환경운동연합이 벌인 여론조사에서 후쿠시마 방사능 오염수 방류반대 여론은 85%에 달했다. 하지만 이날 김 대표는 오염수 방류반대 여론을 또다시 ‘거대한 괴담’이라고 규정했다. 김 대표는 오염수 방류를 향한 야당의 지적을 “매우 익숙한 선동”이라며 “근거 없는 야당 비난에 휘둘리지 않고 우리가 직접 철저하게 검증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국민 여론을 입맛에 맞게 선택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생긴다.

전날 이 대표가 불체포특권을 내려놓겠다 한 것에 대해도 언급했다. “만시지탄이지만 긍정적으로 평가한다”면서도 “사과부터 하는 것이 도리”라고 말했다. 이어 “국회가 드디어 불체포특권을 내려놓을 때가 됐다”며 야당에 불체포특권에 동의할 것을 제안했다.

이어서 ‘코인 논란’에 휩싸인 김남국 의원을 거론하며 “국회의원 무노동 무임금 제도를 도입하겠다”고 말했다. “김 의원처럼 무단결근, 연락 두절에 칩거까지 해도 꼬박꼬박 월급이 나오는 직장이 어디 있냐”며 질책했다. 

하지만 김 의원은 곧바로 SNS를 통해 ‘김 대표가 자신을 무단 결근자로 만들었다’고 분노하며 “김 대표의 발언은 사실이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김의원은 “대부분 의원회관과 지역사무실로 계속 출근했고 주말에도 의원회관으로 아침 일찍 출근했다”고 해명했다.

연설 이후 민주당은 “이렇게 남 탓으로 점철된 여당 대표 연설은 없었다”며 ‘악의로 가득 찬 공격적 언사’라고 받아쳤다. 교섭단체 연설로 수위 높은 비방과 일방적인 주장만 오가면서 협치는 더 멀어졌다는 평가가 주를 이룬다.

저작권자 © 현장언론 민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