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녀상 모욕은 역사 지우기”…시민사회, 정부·국회에 단호한 조치 요구
평화의 소녀상을 겨냥한 극우단체의 모욕과 테러, 학교 앞 혐오 시위로까지 번진 상황을 두고 교육단체와 시민사회가 공동대책위를 발족하며 정부와 국회, 교육 당국의 즉각적이고 단호한 대응을 촉구했다. 이들은 소녀상 모욕을 “전쟁범죄 피해자와 역사에 대한 테러”로 규정하고, 학교 앞 불시 집회 차단과 관련 법안의 11월 내 처리를 요구했다.
소녀상 테러 극우단체 대응 공동대책위원회(가)는 7일 오후 1시,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위안부법폐지국민행동 등 극우단체들이 ‘위안부는 매춘부’ 같은 망언을 공공연히 일삼고 학교 앞까지 찾아와 혐오 시위를 벌이고 있다”며 “이는 학생의 학습권과 인권을 침해하는 반교육적 행위”라고 규탄했다. 이어 “소녀상 테러가 2년 전부터 이어져 왔지만, 이제는 학교 앞까지 찾아와 혐오 선동을 벌이고 있다”라며 “더 이상 소녀상 테러와 역사 왜곡을 용납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극우 네트워크, 내란 세력과 한통속…법으로 막아야”
정의기억연대 강경란 연대운동국장은 “극우 단체들은 한미일 극우 네트워크로 긴밀히 연결돼 있다”며 “학자에게 돈을 주고 역사 왜곡 논문을 쓰게 하고, 일본 극우 인사를 초청해 혐오 선동을 조직적으로 벌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최근 서부지법 폭동으로 구속된 사랑제일교회 전도사를 보며, 이들이 내란 세력과 한통속임을 확인했다”며 “이들의 활동은 단순한 혐오나 왜곡이 아니라 민주주의 질서를 위협하는 정치적 폭력”이라고 말했다.
이어 “작년 2월부터 올해 10월까지 전국에 있는 평화의 소녀상을 상대로 한 모욕 및 테러가 107건 이상 발생했다”며 “이제는 법으로 막아야 한다. 국회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명예훼손 처벌법과 학교 앞 혐오 시위 금지법을 11월 안에 반드시 통과시켜야 한다”고 촉구했다.
그는 또한 “표현의 자유는 소중하지만, 학생의 학습권과 인권을 침해하는 폭력적 집회까지 허용돼선 안 된다”며 “정부와 경찰이 선제적으로 대응하지 않으면 이들의 내란적 행동은 더욱 조직화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국가적 안전장치 부재…역사왜곡은 범죄”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서울지부 홍순희 지부장은 “소녀상이 있는 학교 학생들이 일부 극우단체의 혐오 시위로 불안에 떨고 있다”며 “국가 차원의 안전장치 부재에 분노한다”고 말했다.
그는 “소녀상은 전쟁 범죄와 성폭력의 비극을 잊지 않겠다는 약속”이라며 “이를 모욕하는 단체의 망언은 표현의 자유가 아니라 역사를 왜곡하는 범죄행위”라고 규정했다. “정부와 국회, 경찰은 단호히 나서 학생들의 안전을 지키고 관련 법을 당장 제정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학교 앞 무분별한 혐오 집회, 어른으로서 부끄럽다”
성동소녀상지킴이 역사울림 김미경 대표는 “무학여고 앞에서 차마 입에 담기 힘든 말을 쏟아내는 이들을 보며 어른으로서 부끄러웠다”며 “이번 일을 계기로 정확한 역사 교육과 시민의 참여가 다시 일어나야 한다. 소녀상은 반드시 지켜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소녀상은 기억의 학교…청년 세대가 지키겠다”
평화나비 네트워크 장은아 대표는 “평화의 소녀상은 학생과 시민이 세운 기억의 학교”라고 언급하고, “동상 훼손은 인권의 가치를 무너뜨리는 일이기 때문에 정부와 국회, 경찰은 단호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대학생역사동아리연합 ‘날갯짓’ 이해랑 회장은 “거짓과 혐오를 되풀이하는 세력은 폭력을 멈춰야 한다. 우리는 대자보와 SNS로 알리며 끝까지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서울교대 4학년 장서은 씨는 “학교 앞 혐오 시위는 의견 표현이 아니라 역사 왜곡과 피해자 조롱”이라며 “정부는 즉시 법을 개정하고 혐오 선동을 중단시켜야 한다”고 했다.
기자회견문 낭독은 기본소득당, 정의당, 진보당 등 진보정당에서 진행했다. 이들은 기자회견 후 정부와 국회의 단호한 조치를 촉구하는 요구안을 총리실에 전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