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강제징용 실천단 발대식 현장

지난해 10월 30일 대법원은 일제강점기 강제징용을 실시한 일본 기업에 대해 강제징용 배상 판결을 내렸다. 이후 일본 아베정부는 역사에 대한 반성이 아닌 과거 군국주의 부활을 꿈꾸며 경제보복 조치를 단행했다. 이러한 아베 정부에 대해 배상 판결과 함께 전쟁범죄에 대한 진정성 있는 사과를 촉구하는 청년들의 움직임이 부산에서 일고 있다.

10월 3일 오후 2시 부산 노동복지회관 2층에서 ‘일본 강제징용 문제 해결을 위한 실천단’ 발족식이 열렸다. 부산지역 각 대학 재학생과 졸업생을 비롯해 다양한 청년 세대가 참여한 실천단 발족식에서는 일본 강제징용 문제에 대한 강연과 문제해결을 위한 실천방안을 논의하는 토론이 진행되었다.

강연을 진행한 한은주 부산 겨레하나 금정구 지부장은 “식민지 노예 생활이란 말이 있는데 단순히 상징적인 말이 아니었다.”며 각종 망언으로 논란이 된 아소 다로 일본 부총리 가문이 소유한 아소 탄광의 사례를 소개했다. 이어서 “미쓰비시 상무가 2014년 미국의 전쟁포로에 대해 사죄를 한바 있었다. 또한 중국인 강제징용자 에게도 사죄와 배상을 한 바 있었다.”고 말하며 “하지만 한국에 대해서는 문제가 없었다. 합법이라고 말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지금 반일운동을 왜곡하고 방해하는 친일적폐에 대한 저항이 필요하다.”며 “여기서 친일파는 의식적으로 일제에 반복적으로 협력한 자들.”이라고 말하며 “지금의 반일운동, 배상문제는 청산하지 못한 식민지배의 잔재를 지워나가는 것”임을 강조했다.

강연이 끝난 이후 참가자 들은 12개 팀으로 나뉘어 마인드맵을 통해 강제징용 문제에 관한 내용을 토의하는 시간을 가졌다. 마인드맵 작성이후 강제징용 문제를 알리는 실천 방안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었다. 논의를 통해 참가자들은 강제징용에 대한 사과와 배상을 받기 위해 10월 19일 미쓰비시로 발송될 ‘미래세대의 선언’을 공유하고 더 많은 이들과 선언을 작성할 뜻을 밝혔다.

토의가 끝나고 각 팀에서 내용을 발표하는 시간이 이어졌다. 발표에 나선 한 학생은 “강제징용 문제를 정확하게 알리고 200명의 선언으로 많은 시민과 함께 하겠다.”는 의지를 밝혀 큰 호응을 얻었다.

발표가 마무리된 이후 참석자들은 각자 강제징용 판결 이행의 뜻이 담긴 서명을 작성한 후 “강제징용 배상 판결 이행하라!”란 외침과 함께 단체 사진을 찍고 발대식을 마무리하였다. 이날 발대식을 기점으로 활동을 이어갈 ‘부산 강제징용 문제 해결을 위한 실천단’은 10월 19일 선언문을 미쓰비시로 보내는 활동과 함께 10월 30일 강제징용 배상 판결 1주년을 맞이해 초량동에 위치한 일본 영사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진행할 계획이다. 이어서 11월 2일 강제징용 문제해결을 위한 문화제를 오후 5시 서면 쥬디스 태화에서 펼칠 예정이다.

저작권자 © 현장언론 민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